토피도 황반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339 바이트 추가됨 ,  2025년 9월 19일 (금)
잔글
14번째 줄: 14번째 줄:


안저검사상 단안에서 편평한, 비진행성의 저색소성 단일 병변으로 관찰된다<ref name=r2 />. 드물지만, 양안에서 나타나거나<ref>Richez F et al. Maculopathie en torpille bilatérale [Bilateral torpedo maculopathy]. ''J Fr Ophtalmol''. 2010 Apr;33(4):296. French. [https://pubmed.ncbi.nlm.nih.gov/20096477/ 연결]</ref> 혹은 단안에서 중심와 근처에 두 병변이 동시에 있거나<ref>Raju B et al. Torpedo maculopathy w double torpedoes. ''Indian J Ophthalmol''. 2018 Aug;66(8):1189-1190. [https://pubmed.ncbi.nlm.nih.gov/30038174/ 연결]</ref>, 저색소 경계의 과색소성 단일 병변 및 위성 병변이 동반되기도 한다<ref>Tsang T et al. Torpedo maculopathy : in-vivo histology using OCT. ''Optom Vis Sci''. 2009 Dec;86(12):E1380-5. [https://pubmed.ncbi.nlm.nih.gov/19887969/ 연결]</ref><ref>Rohl A et al. Hyperpigmented Torpedo Maculopathy w Pseudo-Lacuna: A 5y FU. ''Case Rep Ophthalmol''. 2016 May 26;7(1):184-90. [https://pubmed.ncbi.nlm.nih.gov/27462244/ 연결]</ref>.
안저검사상 단안에서 편평한, 비진행성의 저색소성 단일 병변으로 관찰된다<ref name=r2 />. 드물지만, 양안에서 나타나거나<ref>Richez F et al. Maculopathie en torpille bilatérale [Bilateral torpedo maculopathy]. ''J Fr Ophtalmol''. 2010 Apr;33(4):296. French. [https://pubmed.ncbi.nlm.nih.gov/20096477/ 연결]</ref> 혹은 단안에서 중심와 근처에 두 병변이 동시에 있거나<ref>Raju B et al. Torpedo maculopathy w double torpedoes. ''Indian J Ophthalmol''. 2018 Aug;66(8):1189-1190. [https://pubmed.ncbi.nlm.nih.gov/30038174/ 연결]</ref>, 저색소 경계의 과색소성 단일 병변 및 위성 병변이 동반되기도 한다<ref>Tsang T et al. Torpedo maculopathy : in-vivo histology using OCT. ''Optom Vis Sci''. 2009 Dec;86(12):E1380-5. [https://pubmed.ncbi.nlm.nih.gov/19887969/ 연결]</ref><ref>Rohl A et al. Hyperpigmented Torpedo Maculopathy w Pseudo-Lacuna: A 5y FU. ''Case Rep Ophthalmol''. 2016 May 26;7(1):184-90. [https://pubmed.ncbi.nlm.nih.gov/27462244/ 연결]</ref>.
* AF :  비정상적 [[망막 색소상피|RPE]]로부터 생성된 리포푸신 (lipofuscin) 으로 구성된 과형광 경계로 둘러싸인 저형광의 [[망막 색소상피|RPE]]의 위축이 특징적이다.
* FA : [[망막 색소상피|RPE]]의 위축으로 형광 누출이 없는 창문 비침 (window defect) 이 관찰된다.2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