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9
번
(새 문서: 독성 결막염 (toxic conjunctivitis) 은 "예전부터 알려져 있었으나, 1864년 Von Graefe가 국소적 atropine에 의한 각결막염을 처음 기술함으로써 구체...) |
잔글 (→병태 생리)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알레르기 반응은 반복 노출과 충분한 민감화 시간을 거친 후 발생하며 수일에서 수년의 시간이 필요하다. 독작용도 보통 반복 노출된 후 발생하지만 첫 번째 노출에도 나타날 수 있다. | 알레르기 반응은 반복 노출과 충분한 민감화 시간을 거친 후 발생하며 수일에서 수년의 시간이 필요하다. 독작용도 보통 반복 노출된 후 발생하지만 첫 번째 노출에도 나타날 수 있다. | ||
== 병태 생리 == | == 병태 생리 == | ||
약물의 알레르기 반응은 1형(즉각 과민반응)과 4형(지연 과민반응)에 의하여 나타난다. | 약물의 알레르기 반응은 1형(즉각 과민반응)과 4형(지연 과민반응)에 의하여 나타난다. | ||
* 1형 과민반응 : 약물이 알레르기 항원으로 작용하고 IgE, 비만세포가 관여하여 histamine과 여러 화학주성 인자가 분비되어 급성 알레르기 반응의 증상 및 증후가 나타난다. | |||
* 4형 과민반응 : 약물이 불완전 항원으로 단백질과 반응하여 항원을 형성하고 이것이 T 림프구와 작용하여 여러 lymphokine을 유도하여 나타나는 염증 반응이다. | |||
국소적인 약물 치료는 초기에 효과를 나타내다가 나중에 증상 악화를 초래할 수 있는데, 이 현상이 질환의 악화인지 약물의 부작용인지 구분하기 어려워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약물의 독작용과 알레르기 반응이 동시에 나타나 진단을 더욱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 | |||
== 위험 인자 == | == 위험 인자 == | ||
<span style='color:blue;'>건성안이 심한 환자</span>나 <span style='color:blue;'>당뇨병</span>이 오래된 환자에서 더욱 잘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 <span style='color:blue;'>건성안이 심한 환자</span>나 <span style='color:blue;'>당뇨병</span>이 오래된 환자에서 더욱 잘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