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류마티스 관절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5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3월 19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 (juvenile rheumatoid arthritis; JRA) " == 역학 == 우리나라에서는 빈도가 아직 조사된 바가 없으나, 미국의 보고에 의하면 지...)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 (juvenile rheumatoid arthritis; JRA)
<b>소아 류마티스 관절염 (juvenile rheumatoid arthritis; JRA)</b>
"
== 역학 ==
== 역학 ==
우리나라에서는 빈도가 아직 조사된 바가 없으나, 미국의 보고에 의하면 지역, 인종마다 차이는 있으나 매년 15세 이하 소아 10만명 당 13.9명으로, 유병률은 대략 소아 10만명 당 113명 정도로 알려져 있다.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의 면역 유전학적 감수성은 소수 관절형의 소아, 특히 6세 이하의 어린 소아에서 가장 민감하며, 전시형의 경우 계절적인 발병에 차이가 나타나 환경적인 영향이 있음을 시사한다.<br />호발 연령은 2~4세이며, 일반적인 자가 면역질환과 마찬가지로 전신형을 제외하면 여아가 남아보다 2배 정도 많이 발생한다. 포도막염도 여아가 남아보다 5~6배 정도 발병률이 높다.
우리나라에서는 빈도가 아직 조사된 바가 없으나, 미국의 보고에 의하면 지역, 인종마다 차이는 있으나 매년 15세 이하 소아 10만명 당 13.9명으로, 유병률은 대략 소아 10만명 당 113명 정도로 알려져 있다.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의 면역 유전학적 감수성은 소수 관절형의 소아, 특히 6세 이하의 어린 소아에서 가장 민감하며, 전시형의 경우 계절적인 발병에 차이가 나타나 환경적인 영향이 있음을 시사한다.<br />호발 연령은 2~4세이며, 일반적인 자가 면역질환과 마찬가지로 전신형을 제외하면 여아가 남아보다 2배 정도 많이 발생한다. 포도막염도 여아가 남아보다 5~6배 정도 발병률이 높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