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원인) |
잔글 (→병태 생리)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 병태 생리 == | == 병태 생리 == | ||
일반적으로 알칼리는 조직 침투력이 매우 빠르고 강하지만, <span style='color:blue;'>산은 침투력이 약하여 표면에 국한</span>되어 나타나므로 알칼리에 의한 화상이 더 심한 손상을 일으킨다. 알칼리는 세포 성분을 파괴하고, 아교질의 변성과 분해를 가져온다. 또한 조직 단백이 알칼리에 의해 가수분해되면서 발생하는 염증 반응의 산물들로 인하여 심한 손상이 일어난다. 이 경우 백내장, 녹내장, 무균성 궤양, 안구 위축 등의 합병증으로 인해 안구 유지 자체가 불가능해진다. 비록 적절한 치료로 안구 유지에 성공하더라도 각막이 반흔 조직과 신생혈관으로 덮이게 되어 실명하게 된다. | 일반적으로 알칼리는 조직 침투력이 매우 빠르고 강하지만, <span style='color:blue;'>산은 침투력이 약하여 표면에 국한</span>되어 나타나므로 알칼리에 의한 화상이 더 심한 손상을 일으킨다. 알칼리는 세포 성분을 파괴하고, 아교질의 변성과 분해를 가져온다. 또한 조직 단백이 알칼리에 의해 가수분해되면서 발생하는 염증 반응의 산물들로 인하여 심한 손상이 일어난다. 이 경우 백내장, 녹내장, 무균성 궤양, 안구 위축 등의 합병증으로 인해 안구 유지 자체가 불가능해진다. 비록 적절한 치료로 안구 유지에 성공하더라도 각막이 반흔 조직과 신생혈관으로 덮이게 되어 실명하게 된다. | ||
# pH 변화 : hydroxyl 이온(OH<sup>-</sup>)은 세포막의 지방산 구조를 비누화시키고, 아교질 섬유 사이에서 아교질 섬유를 보호하는 glycosaminoglycan을 분해하여 아교질 섬유가 쉽게 효소 분해되게 한다. 또한 pH 변화는 아교질 섬유의 부종을 가져오고 손상의 정도와 비례하게 된다. pH 1*5 이상이면 비가역적인 심한 손상이 일어난다. | |||
# 궤양과 단백 분해 : 단백 분해가 증가하고 아교질 생성이 감소하면 궤양이 진행된다. 다형핵 백혈구, 상피세포 그리고 기질세포에서 분비하는 단백 분해 효소들에 의한 손상과 자유 radical에 의한 손상이 발생한다. superoxide dismutase가 상대적으로 부족해지고 superoxide scavenger가 감소하여 자유 radical이 많이 발생한다. 이후 각막 상피가 재생되고 기질 혈관이 생성되어 단백과 proteoglycan 생성에 필요한 영양분이 공급되면 궤양 진행이 멈추고 기질세포가 손상 부위로 이주한다. | |||
# 회복기의 아교질 생성 장애 : 알칼리에 의한 손상은 안내 조직 깊숙이 작용하여 전방수와 섬모체에서 아스코르빈산의 농도가 감소하고 기질세포의 아교질 생성 작용이 방해받게 되어 조직 괴사가 진행된다. | |||
== 분류 == | == 분류 == | ||
* 산 화상 (acid burn) : 안구 표면에 국한되지만, 산성도가 높은 강한 산은 알칼리와 유사하게 심한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 * 산 화상 (acid burn) : 안구 표면에 국한되지만, 산성도가 높은 강한 산은 알칼리와 유사하게 심한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