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위 각결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530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3월 19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 (→‎원인)
잔글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5번째 줄:
대개 10대와 20대에 잘 발생하는데, 환자는 대체로 침착하고 자신의 병의 무관심하며 의료 기구나 약을 많이 다루는 의료계 종사자가 많다.
대개 10대와 20대에 잘 발생하는데, 환자는 대체로 침착하고 자신의 병의 무관심하며 의료 기구나 약을 많이 다루는 의료계 종사자가 많다.
== 원인 ==
== 원인 ==
* 점안 마취제 남용 : 가장 흔한 형태로, 점안 마취제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상피 세포의 이동과 분열을 방해한다. 실험적으로 0.5% tetracaine을 적출안에 점안하면 미세 융모가 소실되고 세포간 유착이 약화되어 세포 탈락이 유발되며, 다른 동물 실험에서는 부착반점의 감소와 세포막 손상이 일어났다고 한다. 현재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proparacaine은 각막 상피세포의 두께를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br />일반적으로 국소 마취
* 점안 마취제 남용 : 가장 흔한 형태로, 점안 마취제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상피 세포의 이동과 분열을 방해한다. 실험적으로 0.5% tetracaine을 적출안에 점안하면 미세 융모가 소실되고 세포간 유착이 약화되어 세포 탈락이 유발되며, 다른 동물 실험에서는 부착반점의 감소와 세포막 손상이 일어났다고 한다. 현재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proparacaine은 각막 상피세포의 두께를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국소 마취제는 세포막에 직접 작용하여 삼투압을 변화시켜 상피세포의 이동을 억제한다. 또한 세포막의 인지질에 작용하여 칼슘 이온을 세포막으로부터 떨어져 나가게 하고 미토콘드리아와 lysosome의 부종을 야기한다. Risco와 Millar에 의하면 국소 마취제는 이식된 각막의 내피세포에도 영향을 미쳐 내피세포의 크기와 모양의 변형, 정상적인 모자이크 모양과 미세 융모의 소실, 비정상적인 세포간 결합을 유발한다.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12번째 줄: 12번째 줄:
외상의 이유가 합당하지 않거나 정황 상 잘 설명되지 않는 경우 의심해봐야 한다. 특히 잘 낫지 않고 반복적인 병변을 보이거나 임상적으로 증상이 잘 맞지 않는 경우 의심해야 하며, 환자는 종종 정신적 스트레스, 내적 갈등과 연관되어 있다.<br />감별을 위해 균배양 검사와 미생물 염색 등을 시행해야 한다. 그러나 미생물 검사 결과가 음성이고 적절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눈통증이 별로 없거나 점안 마취제를 환자 본인이 지니고 있는 경우는 점안 마취제 남용을 의심해봐야 한다.
외상의 이유가 합당하지 않거나 정황 상 잘 설명되지 않는 경우 의심해봐야 한다. 특히 잘 낫지 않고 반복적인 병변을 보이거나 임상적으로 증상이 잘 맞지 않는 경우 의심해야 하며, 환자는 종종 정신적 스트레스, 내적 갈등과 연관되어 있다.<br />감별을 위해 균배양 검사와 미생물 염색 등을 시행해야 한다. 그러나 미생물 검사 결과가 음성이고 적절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눈통증이 별로 없거나 점안 마취제를 환자 본인이 지니고 있는 경우는 점안 마취제 남용을 의심해봐야 한다.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
- 꾀병이나 히스테리 같은 신체형 장애 : 꾀병은 대개 2차적 이득이 동기가 될 수 있으며 정신병적인 이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숨겨진 동기가 분명히 있으며 시력 장애나 위장된 안증상을 호소하나, 대개 직접적인 외상을 가하지는 않는다.
* 꾀병이나 히스테리 같은 신체형 장애 : 꾀병은 대개 2차적 이득이 동기가 될 수 있으며 정신병적인 이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숨겨진 동기가 분명히 있으며 시력 장애나 위장된 안증상을 호소하나, 대개 직접적인 외상을 가하지는 않는다.
== 예방 ==
== 예방 ==
안과 의사는 과도한 점안 마취제 사용을 자제하여 남용을 예방해야 하며, 일반인이나 환자들이 점안 마취제에 손쉽게 접근하는 것을 반드시 차단해야 한다.
안과 의사는 과도한 점안 마취제 사용을 자제하여 남용을 예방해야 하며, 일반인이나 환자들이 점안 마취제에 손쉽게 접근하는 것을 반드시 차단해야 한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