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b>시유발 전위 (visual evoked potential; VEP)</b> 란 감각 자극에 대한 신경 계통의 반응을 컴퓨터로 평균화한 것으로 | <b>시유발 전위 (visual evoked potential; VEP)</b> 란 감각 자극에 대한 신경 계통의 반응을 컴퓨터로 평균화한 것으로 망막 신경절 세포에서 후두엽 시중추까지의 검사에 이용된다. 기능을 검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시자극을 줄 때 기록되는 중추 신경계의 반응을 기록한 것이며, ISCEV 표준이 2016년 개정되었다. | ||
== 대상 및 목적 == | |||
황반부의 기능을 반영하므로 결과의 판독에 있어서 시력 수준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패턴 자극은 중심의 망막 기능을 반영하므로 중심 시력을 평가하는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 |||
* 시신경 장애가 의심되는 질환 | |||
* 시로 장애가 의심되는 질환 | |||
* 각막 혼탁, 백내장, 유리체 혼탁 등으로 안저 관찰이 안 되는 경우 잠재적인 시력 평가 | |||
* 검안경 소견 상 원인이 불확실한 경우 | |||
* 시력 측정이 불가능한 유소아의 시기능 평가 | |||
== 원리 == | |||
망막에 비춰지는 광자극 또는 빠르게 흑백이 바뀌는 서양 장기판 무늬는 후두엽 시피질에서 분명한 파형인 시유발 전위를 유발시키는 것이 알려져 왔다. 이러한 유발 전위는 여러 파형으로 나타나는데 이들 파형은 시로의 해부학적, 생리학적 구조 또는 상태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들 유발 전위 파형의 형태 및 자극 후 그 파형의 최고점까지 도달하는 시간, 진폭을 판단함으로써 신경생리학적 이상을 평가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