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눈물샘 소관의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이다. == 역학 == 흔하지 않다. == 원인 == * <i>Actinomyces</i> 감염 * 매복된 눈썹 == 증상 ==...) |
잔글 (→검사 및 진단)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검사 및 진단 == | == 검사 및 진단 == | ||
* CT : 눈물샘 부위의 낭종과 주변 조직의 부종 및 조영 증상 소견이 관찰된다. | * CT : 눈물샘 부위의 낭종과 주변 조직의 부종 및 조영 증상 소견이 관찰된다. |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 | ||
* [[눈물샘 소관 낭포]] : 눈물샘소관 주위의 염증이나 외상, 눈물샘소관의 IgA 과분비, 눈물샘소관의 신경-근 수축력 저하, 벽의 약화 등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눈물샘 소관 낭포]] : 눈물샘소관 주위의 염증이나 외상, 눈물샘소관의 IgA 과분비, 눈물샘소관의 신경-근 수축력 저하, 벽의 약화 등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 결막염이나 다래끼 등으로 오진되어 치료가 잘 되지 않고 늦어지는 경우가 많이 있으므로, 이측 눈구석을 자세히 살펴 눈물샘길 질환이 아닌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 * 결막염이나 다래끼 등으로 오진되어 치료가 잘 되지 않고 늦어지는 경우가 많이 있으므로, 이측 눈구석을 자세히 살펴 눈물샘길 질환이 아닌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 ||
== 수술적 치료 == | == 수술적 치료 == | ||
* 이환된 [[눈물샘 소관]]의 절제 : 국소 마취를 통한 비교적 간단한 수술로 완치될 수 있다. | * 이환된 [[눈물샘 소관]]의 절제 : 국소 마취를 통한 비교적 간단한 수술로 완치될 수 있다. | ||
* [[눈물샘 소관]]의 절개 및 소파술 혹은 조대술 : 덜 침습적으로, 좋은 결과를 얻었다는 보고가 있다. | * [[눈물샘 소관]]의 절개 및 소파술 혹은 조대술 : 덜 침습적으로, 좋은 결과를 얻었다는 보고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