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앤더슨-케스텐바움 수술 (Anderson-Kestenbaum surgery) 은 영아 눈떨림에서 머리 돌림이 있을 때, 정지 구역이 정면으로 오게 하는 수술이다. ==...)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앤더슨-케스텐바움 수술 (Anderson-Kestenbaum surgery) 은 영아 눈떨림에서 머리 돌림이 있을 때, 정지 구역이 정면으로 오게 하는 수술이다. | <b>앤더슨-케스텐바움 수술 (Anderson-Kestenbaum surgery)</b> 은 영아 눈떨림에서 머리 돌림이 있을 때, 정지 구역이 정면으로 오게 하는 수술이다. | ||
== 수술 방법 == | == 수술 방법 == | ||
정지점이 왼쪽 주시 때 있다면 환자는 오른쪽으로 얼굴을 돌리고 본다. 왼눈에는 외직근을 후전시키고 내직근을 절제하며, 오른눈은 내직근을 후전하고 외직근을 절제하면 정지점이 정면으로 오게 되어 머리 돌림이 좋아지고 정면 주시 때 눈떨림도 감소하게 된다. 수술량은 확립된 것이 없으나, 오른쪽으로 30˚ 이하 머리 돌림이 있는 경우에는 오른눈 내직근 후전 5mm, 외직근 절제 8mm, 왼눈 내직근 절제 6mm, 외직근 후전 7mm를 시행한다. 머리 돌림이 30˚ 이상인 경우에는 후전, 절제량을 각각 1~2mm 씩 증가시킨다. | 정지점이 왼쪽 주시 때 있다면 환자는 오른쪽으로 얼굴을 돌리고 본다. 왼눈에는 외직근을 후전시키고 내직근을 절제하며, 오른눈은 내직근을 후전하고 외직근을 절제하면 정지점이 정면으로 오게 되어 머리 돌림이 좋아지고 정면 주시 때 눈떨림도 감소하게 된다. 수술량은 확립된 것이 없으나, 오른쪽으로 30˚ 이하 머리 돌림이 있는 경우에는 오른눈 내직근 후전 5mm, 외직근 절제 8mm, 왼눈 내직근 절제 6mm, 외직근 후전 7mm를 시행한다. 머리 돌림이 30˚ 이상인 경우에는 후전, 절제량을 각각 1~2mm 씩 증가시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