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 방사선 촬영: 두 판 사이의 차이

크기가 바뀐 것이 없음 ,  2020년 3월 23일 (월)
잔글
(새 문서: 단순 방사선 촬영 (simple radiograph) == 촬영 방법 == * 전후위 및 후전위 촬영 : 머리뼈 및 안면 전체의 파악에 적당하다. 즉 머리뼈 원개부, 봉...)
 
6번째 줄: 6번째 줄:
* 측면 촬영법 : 머리뼈 전체를 옆에서 관찰하는 것으로 옆 얼굴에 평행하게 필름을 대고 바깥귀길 바로 앞에서 방사선을 필름에 수직으로 투사한다. 머리뼈관의 형상, 봉합, 터어키안(sella turcica), 나비뼈의 관찰 및 안와의 상하 및 후벽을 관찰할 수 있다. 이물의 위치 파악에 많이 이용되며 나비굴염, 안와 근부와 안와벽이 잘 나타난다. 그러나 좌우 안와가 중첩되어 안와 하벽의 골절의 진단에는 X선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 측면 촬영법 : 머리뼈 전체를 옆에서 관찰하는 것으로 옆 얼굴에 평행하게 필름을 대고 바깥귀길 바로 앞에서 방사선을 필름에 수직으로 투사한다. 머리뼈관의 형상, 봉합, 터어키안(sella turcica), 나비뼈의 관찰 및 안와의 상하 및 후벽을 관찰할 수 있다. 이물의 위치 파악에 많이 이용되며 나비굴염, 안와 근부와 안와벽이 잘 나타난다. 그러나 좌우 안와가 중첩되어 안와 하벽의 골절의 진단에는 X선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 눈신경관 촬영법 (optic foramen view) : 직경 약 4.8mm, 길이 약 7.2mm의 눈신경관은 외하방에서 내상방으로 거의 직선으로 주행한다. 이 눈신경관의 축이 필름면에 수직이 되도록 위치시켜 촬영한다.
* 눈신경관 촬영법 (optic foramen view) : 직경 약 4.8mm, 길이 약 7.2mm의 눈신경관은 외하방에서 내상방으로 거의 직선으로 주행한다. 이 눈신경관의 축이 필름면에 수직이 되도록 위치시켜 촬영한다.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엄부섭 외, 안과 검사 제 3판, 도서출판 내외학술
엄부섭 외, 안과 검사 제 3판, 도서출판 내외학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