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판스워스-문셀 100 색조 검사 (Farnsworth-Munsel 100 hue test) 는 색각 이상의 초기 발견과 정도 판정에 감수성이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가...)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판스워스-문셀 100 색조 검사 (Farnsworth-Munsel 100 hue test) 는 색각 이상의 초기 발견과 정도 판정에 감수성이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가장 정확한 검사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4개의 상자 안에 색패가 계통적으로 분류되어 있고, 각 상자의 양쪽 끝에는 고정된 색패가 있는데 이 색패에 가까운 순서대로 배열하도록 한다. 각 색패의 뒷면에는 번호가 매겨져 있으며 피검자가 배열한 순서대로 검사용지에 기록한다. 각 색패에 해당하는 오차 점수를 검사용지에 옮겨 표시하고 표시점을 이어서 나오는 원 그래프 모양으로 색각 이상의 유무와 분류 및 정도를 판정할 수 있다. | 판스워스-문셀 100 색조 검사 (Farnsworth-Munsel 100 hue test) 는 색각 이상의 초기 발견과 정도 판정에 감수성이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가장 정확한 검사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4개의 상자 안에 색패가 계통적으로 분류되어 있고, 각 상자의 양쪽 끝에는 고정된 색패가 있는데 이 색패에 가까운 순서대로 배열하도록 한다. 각 색패의 뒷면에는 번호가 매겨져 있으며 피검자가 배열한 순서대로 검사용지에 기록한다. 각 색패에 해당하는 오차 점수를 검사용지에 옮겨 표시하고 표시점을 이어서 나오는 원 그래프 모양으로 색각 이상의 유무와 분류 및 정도를 판정할 수 있다. | ||
== 구성 == | |||
명도 5, 채로 5의 100 색상에서 시각적으로 거의 비슷한 색차가 되는 85색이 색패의 뒷면에 1~85번까지 번호가 기입되어 4개의 나무 상자에 나뉘어져 있다. 기준되는 색패 2개가 각각의 나무 상자 양 끝에 고정되어 모두 8개가 고정 색패이므로 총 93개의 색패로 구성된다. | |||
# 제 1 상자 : 양 끝에 84, 22번 색패가 고정, 그 사이에 85~21번의 이동 색패 | |||
# 제 2 상자 : 21, 43번 고정, 그 사이에 22~42번의 이동 색패 | |||
# 제 3 상자 : 42, 64번 고정, 그 사이에 43~63번의 이동 색패 | |||
# 제 4 상자 : 63, 85번 고정, 그 사이에 64~84번의 이동 색패 | |||
== 검사 방법 == | |||
# 각 상자마다 이동 색패를 따로 따로 떼어낸다. | |||
# 제 1 상자부터 양끝의 고정 색패를 기준으로 가장 비슷한 색상의 색패를 골라서 고정 색패 옆에 놓고, 그 다음에는 놓아둔 색패와 가장 가까운 색패를 선택하여 그 옆에 배열한다. 이런 조작을 반복하여 22개 전체의 색패를 색상 변화순으로 배열하게 한다. | |||
# 상기 조작을 나머지 제 2, 3, 4 나무 상자에서도 같이 시행하여 모두를 배열하게 한 후 검사를 종료한다. | |||
== 결과 해석 == | |||
상자의 뚜껑을 닫고 기록 용지의 번호 위에 실제로 검사하여 배열한 색패 뒤에 표시된 번호를 기입하고 이웃한 번호와의 차이를 계산한다. 기록된 점수를 다시 이웃한 숫자와 합하여 편차값을 산출한다. 이 점수를 기록 용지인 방사상 도표에 기입하여 선으로 연결하여 그 양상으로 판정한다. | |||
* 총 점수차 (total error score, TES) 는 각 편차값에서 2를 뺀 수의 합으로, 색 식별 능력의 평가 시에 참고치로서, 후천 색각 이상에서는 질환의 경과를 평가할 때 자료로 이용한다. 총 첨수차와 방사상 도표에서 틀린 것이 많은 부위(극)에 따라 청황 이상, 적록 이상, 전색상의 혼동 등으로 진단한다. 제 1 이상에서는 19, 65번 근처에서, 제 2 이상에서는 15, 59번 근처에서, 제 3 이상에서는 1, 46번 근처에서 점수가 커진다. 그러나 형태의 판정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서 총 점수차와 함께 형태로 표시하지만 수량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총 점수차의 정상 범위는 연령에 따라 다르며 20대는 가장 작아 50~90, 50대는 160 전후이다. | |||
== 장점 == | |||
색각 이상의 정도 평가를 정확히 할 수 있고 후천성 색각 이상자의 추적 관찰에 응용할 수 있다. | |||
== 단점 == | |||
검사 시행 및 분석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정상과 이상의 판정이 곤란하며 집단 검사로는 어렵다. | |||
== 참고 == | |||
엄부섭 외, 안과 검사 제 3판, 도서출판 내외학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