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스워스-문셀 100 색조 검사: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판스워스-문셀 100 색조 검사 (Farnsworth-Munsel 100 hue test) 는 색각 이상의 초기 발견과 정도 판정에 감수성이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가장 정확한 검사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4개의 상자 안에 색패가 계통적으로 분류되어 있고, 각 상자의 양쪽 끝에는 고정된 색패가 있는데 이 색패에 가까운 순서대로 배열하도록 한다. 각 색패의 뒷면에는 번호가 매겨져 있으며 피검자가 배열한 순서대로 검사용지에 기록한다. 각 색패에 해당하는 오차 점수를 검사용지에 옮겨 표시하고 표시점을 이어서 나오는 원 그래프 모양으로 색각 이상의 유무와 분류 및 정도를 판정할 수 있다.
<b>판스워스-문셀 100 색조 검사 (Farnsworth-Munsel 100 hue test)</b> 는 색각 이상의 초기 발견과 정도 판정에 감수성이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가장 정확한 검사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4개의 상자 안에 색패가 계통적으로 분류되어 있고, 각 상자의 양쪽 끝에는 고정된 색패가 있는데 이 색패에 가까운 순서대로 배열하도록 한다. 각 색패의 뒷면에는 번호가 매겨져 있으며 피검자가 배열한 순서대로 검사용지에 기록한다. 각 색패에 해당하는 오차 점수를 검사용지에 옮겨 표시하고 표시점을 이어서 나오는 원 그래프 모양으로 색각 이상의 유무와 분류 및 정도를 판정할 수 있다.
== 구성 ==
== 구성 ==
명도 5, 채로 5의 100 색상에서 시각적으로 거의 비슷한 색차가 되는 85색이 색패의 뒷면에 1~85번까지 번호가 기입되어 4개의 나무 상자에 나뉘어져 있다. 기준되는 색패 2개가 각각의 나무 상자 양 끝에 고정되어 모두 8개가 고정 색패이므로 총 93개의 색패로 구성된다.
명도 5, 채로 5의 100 색상에서 시각적으로 거의 비슷한 색차가 되는 85색이 색패의 뒷면에 1~85번까지 번호가 기입되어 4개의 나무 상자에 나뉘어져 있다. 기준되는 색패 2개가 각각의 나무 상자 양 끝에 고정되어 모두 8개가 고정 색패이므로 총 93개의 색패로 구성된다.
13번째 줄: 13번째 줄:
상자의 뚜껑을 닫고 기록 용지의 번호 위에 실제로 검사하여 배열한 색패 뒤에 표시된 번호를 기입하고 이웃한 번호와의 차이를 계산한다. 기록된 점수를 다시 이웃한 숫자와 합하여 편차값을 산출한다. 이 점수를 기록 용지인 방사상 도표에 기입하여 선으로 연결하여 그 양상으로 판정한다.
상자의 뚜껑을 닫고 기록 용지의 번호 위에 실제로 검사하여 배열한 색패 뒤에 표시된 번호를 기입하고 이웃한 번호와의 차이를 계산한다. 기록된 점수를 다시 이웃한 숫자와 합하여 편차값을 산출한다. 이 점수를 기록 용지인 방사상 도표에 기입하여 선으로 연결하여 그 양상으로 판정한다.
* 총 점수차 (total error score, TES) : 각 편차값에서 2를 뺀 수의 합으로, 색 식별 능력의 평가 시에 참고치로서, 후천 색각 이상에서는 질환의 경과를 평가할 때 자료로 이용한다. 총 첨수차와 방사상 도표에서 틀린 것이 많은 부위(극)에 따라 청황 이상, 적록 이상, 전색상의 혼동 등으로 진단한다. 제 1 이상에서는 19, 65번 근처에서, 제 2 이상에서는 15, 59번 근처에서, 제 3 이상에서는 1, 46번 근처에서 점수가 커진다. 그러나 형태의 판정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서 총 점수차와 함께 형태로 표시하지만 수량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총 점수차의 정상 범위는 연령에 따라 다르며 20대는 가장 작아 50~90, 50대는 160 전후이다.
* 총 점수차 (total error score, TES) : 각 편차값에서 2를 뺀 수의 합으로, 색 식별 능력의 평가 시에 참고치로서, 후천 색각 이상에서는 질환의 경과를 평가할 때 자료로 이용한다. 총 첨수차와 방사상 도표에서 틀린 것이 많은 부위(극)에 따라 청황 이상, 적록 이상, 전색상의 혼동 등으로 진단한다. 제 1 이상에서는 19, 65번 근처에서, 제 2 이상에서는 15, 59번 근처에서, 제 3 이상에서는 1, 46번 근처에서 점수가 커진다. 그러나 형태의 판정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서 총 점수차와 함께 형태로 표시하지만 수량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총 점수차의 정상 범위는 연령에 따라 다르며 20대는 가장 작아 50~90, 50대는 160 전후이다.
== 장점 ==
== 장점 ==
색각 이상의 정도 평가를 정확히 할 수 있고 후천성 색각 이상자의 추적 관찰에 응용할 수 있다.
색각 이상의 정도 평가를 정확히 할 수 있고 후천성 색각 이상자의 추적 관찰에 응용할 수 있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