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 검사 및 진단 == | == 검사 및 진단 == | ||
- 각막 곡률계 : 중심부 각막에 각막 곡률계 고리를 투영할 수 없는 <span style='color:blue;'>불규칙 각막 난시</span>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진단할 수 있는 각막 만곡의 정확한 수치는 없다. 원추각막이 아니면서 각막 만곡치가 높거나 고도 난시를 보이는 환자가 있는가 ㅎ면, 원추각막이지만 각막 중심의 만곡이 정상인 환자도 있다. 하방의 각막 가파름 또한 원추각막의 초기 소견이다. 중심 부위 각막 만곡을 측정한 후 상방 주시 때의 각막 만곡도를 측정하면 하측 각막의 경사를 알 수 있다. | - 각막 곡률계 : 중심부 각막에 각막 곡률계 고리를 투영할 수 없는 <span style='color:blue;'>불규칙 각막 난시</span>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진단할 수 있는 각막 만곡의 정확한 수치는 없다. 원추각막이 아니면서 각막 만곡치가 높거나 고도 난시를 보이는 환자가 있는가 ㅎ면, 원추각막이지만 각막 중심의 만곡이 정상인 환자도 있다. 하방의 각막 가파름 또한 원추각막의 초기 소견이다. 중심 부위 각막 만곡을 측정한 후 상방 주시 때의 각막 만곡도를 측정하면 하측 각막의 경사를 알 수 있다. | ||
== 비수술적 치료 == | |||
=== 콘택트 렌즈 === | |||
치료는 안경 교정으로 시작하며, 안경으로 교정되지 않으면 콘택트 렌즈를 착용한다. 콘택트 렌즈는 각막 확장증의 진행을 막지 못하며, 일부 경우에는 원추 각막의 발달과 연관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콘택트 렌즈는 시력을 교정하는 면에서 원추 각막의 중요한 치료 방법이므로, 원추 각막이 진행할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 사용을 중단해서는 안 된다. 인내를 가지고 다양한 종류의 콘택트 렌즈를 시도해야 한다. RGP 렌즈 처방에는 삼점 접촉 (three point touch) 과 apical clearance 방법이 많이 이용된다. | |||
콘택트 렌즈 착용이 어렵게 되는 원인 중 하나는 원추의 정점 부위에서 상피하 섬유성 반흔이 있는 상피 위에 생기는 상피 결손 때문이다. 이 때는 점안 마취를 하고 상피를 제거한 후 각막 상피가 재생되도록 하면 다시 콘택트 렌즈를 착용할 수 있다. | |||
=== [[각막 기질내 고리 삽입술]] === | |||
각막 중심 반흔이 없으면서 콘택트 렌즈를 착용하기 힘들어하는 경도 혹은 중등도의 원추 각막 환자의 경우에 고려할 수 있따. 이 시술은 중심 각막을 편평하게 만들고 난시를 줄이며 원추를 중심으로 옮겨주어 시력을 개선시킨다. 이 시술의 목적은 콘택트 렌즈가 환자에게 더 잘 맞고 편안하도록 해주는 것이며, 안경 교정 시력도 향상될 수 있다. 수술 전에 적절한 환자 기대치를 설정하고 수술 후에 안경이나 콘택트 렌즈 착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설명해야 한다. | |||
== 수술적 치료 == | == 수술적 치료 == | ||
콘택트렌즈 착용이 어려운 경우에는 더 침습적인 각막 이식을 고려한다. 주로 [[전층 각막 이식]]이 시행되었지만 중등도 이하에는 [[표층 각막 이식]]을 시행하기도 한다. 이식편의 크기를 결정할 때는 원추의 기저에 있는 철고리를 기준으로 한다. 수술 후 발생하는 근시는 동일한 크기의 기증 안구와 수용안구 절편을 사용하여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수정체 전면에서 망막까지의 길이가 20.19mm 미만인 경우에는 이식 절편의 크기를 같게 해서는 안 된다. | 콘택트렌즈 착용이 어려운 경우에는 더 침습적인 각막 이식을 고려한다. 주로 [[전층 각막 이식]]이 시행되었지만 중등도 이하에는 [[표층 각막 이식]]을 시행하기도 한다. 이식편의 크기를 결정할 때는 원추의 기저에 있는 철고리를 기준으로 한다. 수술 후 발생하는 근시는 동일한 크기의 기증 안구와 수용안구 절편을 사용하여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수정체 전면에서 망막까지의 길이가 20.19mm 미만인 경우에는 이식 절편의 크기를 같게 해서는 안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