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임상 소견)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대개 비특이적이며, 안구 건조증과 비슷하게 작열감, 이물감, 가려움, 충혈, 시력 저하나 시력 변동을 주로 호소한다. 진찰 소견의 심한 정도와 환자의 증상 정도는 대개 일치하지 않는다. | 대개 비특이적이며, 안구 건조증과 비슷하게 작열감, 이물감, 가려움, 충혈, 시력 저하나 시력 변동을 주로 호소한다. 진찰 소견의 심한 정도와 환자의 증상 정도는 대개 일치하지 않는다.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눈꺼풀테는 주로 두꺼워져 있고, 과각화, 혈관화, 모세혈관 확장증, 홍반 (erythema), 패임 등을 주로 동반한다. | 눈꺼풀테는 주로 두꺼워져 있고, 과각화, 혈관화, 모세혈관 확장증, 홍반 (erythema), 패임 등을 주로 동반한다. 염증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으며, 마이봄샘의 배출구들은 대개 후방으로 밀려오고, 지질의 고체화 혹은 상피 때문에 보통 orifice crapping 이 존재하게 된다. 눈꺼풀테를 누르면 지질이 나오지 않거나 극소량만 나오며, 간혹 이상한 형태로 나오게 된다. 분비물은 혼탁하고 과립 혹은 치약 같은 형태로 배출된다. | ||
== 합병증 == | == 합병증 == | ||
콘택트렌즈를 잘 착용하지 못하는 현상이 자주 발견된다. 콘택트렌즈는 눈물 증발을 촉진하고, 이미 눈물층이 감소한 환자의 증상을 악화시킨다. [[거대 유두 결막염]] 역시 흔히 동반된다. 따라서 [[거대 유두 결막염]]이 있는 모든 환자에서 마이봄선 기능 장애가 동반되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마이봄선 기능 장애를 우선 치 료해야 [[거대 유두 결막염]] 혹은 콘택트렌즈 사용 장애를 교정할 수 있다. | 콘택트렌즈를 잘 착용하지 못하는 현상이 자주 발견된다. 콘택트렌즈는 눈물 증발을 촉진하고, 이미 눈물층이 감소한 환자의 증상을 악화시킨다. [[거대 유두 결막염]] 역시 흔히 동반된다. 따라서 [[거대 유두 결막염]]이 있는 모든 환자에서 마이봄선 기능 장애가 동반되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마이봄선 기능 장애를 우선 치 료해야 [[거대 유두 결막염]] 혹은 콘택트렌즈 사용 장애를 교정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