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발 개방각 녹내장: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51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4월 9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 유병률 ===
=== 유병률 ===
가장 흔한 녹내장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상 인구의 연령, 성별 분포와 인종간 또는 국가간에 따라 보고되는 유병율에는 다소 차이가 있다. 서양의 보고에 의하면 40세 이상 인구에서 유병률은 0.5~1% 이며 전체 녹내장의 60~70% 를 차지한다고 한다. 그러나 동양인에서는 폐쇄각 녹내장이 서양인에 비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인구 기반으로 유병률을 조사한 일본의 Tamiji 연구에 따르면 개방각 녹내장이 전 인구의 3.9% 에 달하며, 그 중 92% 가 안압이 21mmHg 이하라고 하여, 동양인에서 [[정상 안압 녹내장]]의 비율이 매우 높음을 보고하였다.
가장 흔한 녹내장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상 인구의 연령, 성별 분포와 인종간 또는 국가간에 따라 보고되는 유병율에는 다소 차이가 있다. 서양의 보고에 의하면 40세 이상 인구에서 유병률은 0.5~1% 이며 전체 녹내장의 60~70% 를 차지한다고 한다. 그러나 동양인에서는 폐쇄각 녹내장이 서양인에 비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인구 기반으로 유병률을 조사한 일본의 Tamiji 연구에 따르면 개방각 녹내장이 전 인구의 3.9% 에 달하며, 그 중 92% 가 안압이 21mmHg 이하라고 하여, 동양인에서 [[정상 안압 녹내장]]의 비율이 매우 높음을 보고하였다.
=== 발병률 ===
=== 발병률 ===
대대적인 모집단에 대한 장기적인 조사가 있어야 하므로 아직 구체적으로 기술된 것은 없지만 서양의 한 연구에 의하면 (Framingham 연구) 55세에서는 발병율이 0.2%, 70세에서는 1.1% 라고 한다. 즉 매년 1,000명 중에 55~60세 인구에서는 2명, 70~75세에서는 11명의 환자가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대대적인 모집단에 대한 장기적인 조사가 있어야 하므로 아직 구체적으로 기술된 것은 없지만 서양의 한 연구에 의하면 (Framingham 연구) 55세에서는 발병율이 0.2%, 70세에서는 1.1% 라고 한다. 즉 매년 1,000명 중에 55~60세 인구에서는 2명, 70~75세에서는 11명의 환자가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 위험 인자 ==
=== 눈과 관련된 인자 ===
* 안압
* 높은 시신경 유두 함몰비
* 비대칭 유두 함몰과 시신경 유두 출혈
* 근시
=== 눈과 관련되지 않은 인자 ===
* 연령
* 인종
* 가족력
* 당뇨
* 고혈압
== 조직병리 ==
== 조직병리 ==
* 섬유주 기둥의 변형 아교질의 분절, 휘어짐의 증가, long-spacing 아교질의 증가, 섬유 다발의 감김
* 섬유주 기둥의 변형 아교질의 분절, 휘어짐의 증가, long-spacing 아교질의 증가, 섬유 다발의 감김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