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발 개방각 녹내장: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366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4월 9일 (목)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7번째 줄:
== 위험 인자 ==
== 위험 인자 ==
=== 눈과 관련된 인자 ===
=== 눈과 관련된 인자 ===
* 안압
* 안압 : 지금까지 녹내장의 가장 중요한 위험 인자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녹내장의 원인으로 안압의 역할은 지금까지도 논란이 되고 있다. 높은 안압이 녹내장성 손상을 가져오는지에 대한 의문과 함께 심지어는 녹내장 치료에 있어서 안압을 낮추는 것의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 높은 시신경 유두 함몰비
* 높은 시신경 유두 함몰비 : 녹내장의 중요한 위험 인자 중 하나지만 선천적으로 유두 함몰비가 큰 경우가 녹내장성 손상에 더 민감하다는 근거는 없다.
* 비대칭 유두 함몰과 시신경 유두 출혈
* 비대칭 유두 함몰과 시신경 유두 출혈 : 유두 함몰비와 마찬가지로 비대칭 유두 함몰은 위험 인자라기 보다는 초기 녹내장의 한 소견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시신경 유두 출혈은 시신경 유두 전반부의 혈관 장애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는데, 녹내장이 없는 눈에 녹내장이 생길 가능성을 보여주는 소견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녹내장의 진행에도 영향을 주는 요소라고 생각되고 있다.
* 근시
* 근시 : 많은 연구에서 근시는 녹내장의 발생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 눈과 관련되지 않은 인자 ===
=== 눈과 관련되지 않은 인자 ===
* 연령
* 연령 :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병률은 증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40세 이전의 젊은층, 심지어는 10대에서도 발병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예후가 더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인종
* 인종 : 흑인에서는 다른 인종에 비해 안압도 높고 유두 함몰비도 크며, 각막 두께도 얇은 등의 위험 인자가 많고, 개방각 녹내장의 발생률도 높다는 보고가 있다.
* 가족력
* 가족력 : 가족력은 최근 들어 가장 주목받고 있는 인자이다. 원발 개방각 녹내장은 이제 유전병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 정확한 기전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지만 myocilin 유전자와 optineurin 유전자가 개방각 녹내장과 많은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 당뇨
* 당뇨 : 정확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당뇨로 인한 안내 소혈관의 기능 장애로 인하여 녹내장성 손상에 민감한 것으로 생각된다.
* 고혈압
* 고혈압 : 고혈압에 기인한 시신경 유두의 관류 장애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 기타 전신 질환 : 여러 연구에서 갑상선 기능 이상, 신장 기능 이상 및 대사 증후군의 녹내장과의 관련성들이 보고되고 있지만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조직병리 ==
== 조직병리 ==
* 섬유주 기둥의 변형 아교질의 분절, 휘어짐의 증가, long-spacing 아교질의 증가, 섬유 다발의 감김
* 섬유주 기둥의 변형 아교질의 분절, 휘어짐의 증가, long-spacing 아교질의 증가, 섬유 다발의 감김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