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알레르기 결막염 (allergic conjunctivitis) == 역학 == 선진국의 알레르기 발병률은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노출 감소, 유전적 영향, 산업화, 공해...) |
잔글 (→분류)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통년 알레르기 결막염]] : 약 80%의 환자에서 계절적 악화가 나타나지만, 연중 계속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 * [[통년 알레르기 결막염]] : 약 80%의 환자에서 계절적 악화가 나타나지만, 연중 계속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 ||
* [[봄철 각결막염]] : 매우 건조한 지역의 어린이들에서 주로 발생하는 드문 질환으로, 반복적이고 자기 제한적인 질환이다. | * [[봄철 각결막염]] : 매우 건조한 지역의 어린이들에서 주로 발생하는 드문 질환으로, 반복적이고 자기 제한적인 질환이다. | ||
* 아토피 각결막염 : 인구의 3%에서 발생하며 전신적인 아토피 증상이나 아토피 피부염, 습진, 눈꺼풀 염증과 연관이 많은 만성 질환이다. | * 아토피 각결막염 : 인구의 3%에서 발생하며 전신적인 아토피 증상이나 아토피 피부염, 습진, 눈꺼풀 염증과 연관이 많은 만성 질환이다. | ||
* 거대 유두 결막염 : 가역적 질환으로 대부분 콘택트렌즈 착용, 노출된 봉합사나 안내 인공삽입물과 연관 있으며, 전형적인 알레르기 기전보다는 만성적이고 지속적인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인해 나타난다. | |||
* [[접촉 피부 결막염]] : 점안 치료제나 점안약에 포함된 보존제에 대한 노출 후 과민반응으로 인해 주로 발생한다. | * [[접촉 피부 결막염]] : 점안 치료제나 점안약에 포함된 보존제에 대한 노출 후 과민반응으로 인해 주로 발생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