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대부분 병변이 결막과 각막에 국한되는데, 주 병변이 주로 <span style='color:blue;'>윤부나 윗눈꺼풀판</span>에 나타난다. 아토피 각결막염에 비해 눈꺼풀 피부와 눈꺼풀 경계의 병변은 잘 발생하지 않는다. | 대부분 병변이 결막과 각막에 국한되는데, 주 병변이 주로 <span style='color:blue;'>윤부나 윗눈꺼풀판</span>에 나타난다. 아토피 각결막염에 비해 눈꺼풀 피부와 눈꺼풀 경계의 병변은 잘 발생하지 않는다. | ||
* 눈꺼풀판형 : 유두는 경계가 명확하고 직경이 1mm보다 크고, 형광 물질에 염색되는 편평한 정상 부위를 나타내며, 두터운 점액 분비물로 인해 전형적인 자갈 모양 | * 눈꺼풀판형 : 유두는 경계가 명확하고 직경이 1mm보다 크고, 형광 물질에 염색되는 편평한 정상 부위를 나타내며, 두터운 점액 분비물로 인해 전형적인 자갈 모양 유두 (cobble stone papilla) 를 보인다. 이 때 각막의 상피층에는 표층 상피 결손이나 진무름, 궤양이 초래될 수도 있다. | ||
<center> | |||
{| | |||
|<img src="https://www.eyerounds.org/atlas/pages/Palpebral-vernal-keratoconjunctivitis-VKC/palpebral-VKC-LRG.jpg" width="375px"> | |||
|- | |||
|<center><small>출처 : EyeRounds.org ([http://www.eyerounds.org/atlas/pages/Palpebral-vernal-keratoconjunctivitis-VKC/index.htm 링크])</small></center> | |||
|} | |||
</center> | |||
* 윤부형 : 유두는 젤라틴화되면서 융기되어 합쳐지는 경향이 있으며, <span style='color:blue;'>상피세포와 호산구의 집합인 Horner-Trantas dots</span>가 윤부 주위 어디에서나 발견된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각막 표면에 신생혈관이 생길 수 있으나, 결막 구석에서는 단축이나 결막붙음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적다. | * 윤부형 : 유두는 젤라틴화되면서 융기되어 합쳐지는 경향이 있으며, <span style='color:blue;'>상피세포와 호산구의 집합인 Horner-Trantas dots</span>가 윤부 주위 어디에서나 발견된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각막 표면에 신생혈관이 생길 수 있으나, 결막 구석에서는 단축이나 결막붙음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적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