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 주변 홍채 성형술: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72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4월 28일 (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레이저 주변 홍채 성형술 (laser peripheral iridoplasty; LPI) 은 "동공 차단으로 생긴 페쇄각 녹내장에서 레이저 홍채 절개술을 곧바로 시행할...)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레이저 주변 홍채 성형술 (laser peripheral iridoplasty; LPI) 은 "동공 차단으로 생긴 페쇄각 녹내장에서 [[레이저 홍채 절개술]]을 곧바로 시행할 수 없거나 동공 차단 외의 다른 기전에 의한 전방각 폐쇄의 치료에 효과적인 방법이다. 1977년 Krasnov는 처음으로 주변부 홍채에 조사하여 홍채와 섬유주를 분리하려는 시도를 하였으며 1979년 Kimbrough 등은 전방각경을 통해 360˚ 주변부 홍채에 레이저를 조사하였고 이를 '전방각 성형술'이라 명명하였다. 그 후 현재의 레이저 주변홍채 성형술로 발전하게 되었다.
<b>레이저 주변 홍채 성형술 (laser peripheral iridoplasty; LPI)</b> 은 동공 차단으로 생긴 페쇄각 녹내장에서 [[레이저 홍채 절개술]]을 곧바로 시행할 수 없거나 동공 차단 외의 다른 기전에 의한 전방각 폐쇄의 치료에 효과적인 방법이다. 1977년 Krasnov는 처음으로 주변부 홍채에 조사하여 홍채와 섬유주를 분리하려는 시도를 하였으며 1979년 Kimbrough 등은 전방각경을 통해 360˚ 주변부 홍채에 레이저를 조사하였고 이를 '전방각 성형술'이라 명명하였다. 그 후 현재의 레이저 주변홍채 성형술로 발전하게 되었다.
{{외부 사진
|주소=https://ars.els-cdn.com/content/image/1-s2.0-S0039625707000173-gr4.jpg
|가로=350
|제목=아르곤 레이저 주변 홍채 성형술 (ALPI)
|출처=ScienceDirect
|링크=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039625707000173
}}
== 효과 ==
== 효과 ==
약물 치료에 반응이 없던 [[급성 폐쇄각 녹내장]] 환자에서 시술 전 평균 안압이 54.9mmHg 였으나 아르곤 레이저 주변홍채 성형술을 시행한 후 2~4시간 뒤 평균 안압이 18.9mmHg로 감소하였다고 보고된 연구도 있었다. 반면에 주변 홍채앞 유착과 전방각 폐쇄가 함께 있는 [[만성 폐쇄각 녹내장]] 11안에서는 아르곤 레이저 주변홍채 성형술을 시행 후 6개월 뒤 7안은 안압이 잘 조절되었지만 4안에서는 [[섬유주 절제술]]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br />레이저 홍채 절개술의 효과가 적은 [[고원 홍채]]에서는 시술 후 79개월간 경과 관찰하였을 때 87%에서 전방각이 열렸다는 보고가 있었으며 수정체에 의한 유발된 전방각 폐쇄에서도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다.
약물 치료에 반응이 없던 [[급성 폐쇄각 녹내장]] 환자에서 시술 전 평균 안압이 54.9mmHg 였으나 아르곤 레이저 주변홍채 성형술을 시행한 후 2~4시간 뒤 평균 안압이 18.9mmHg로 감소하였다고 보고된 연구도 있었다. 반면에 주변 홍채앞 유착과 전방각 폐쇄가 함께 있는 [[만성 폐쇄각 녹내장]] 11안에서는 아르곤 레이저 주변홍채 성형술을 시행 후 6개월 뒤 7안은 안압이 잘 조절되었지만 4안에서는 [[섬유주 절제술]]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br />레이저 홍채 절개술의 효과가 적은 [[고원 홍채]]에서는 시술 후 79개월간 경과 관찰하였을 때 87%에서 전방각이 열렸다는 보고가 있었으며 수정체에 의한 유발된 전방각 폐쇄에서도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다.
10번째 줄: 17번째 줄:
== 금기증 ==
== 금기증 ==
* 심한 각막 부종이 있는 경우
* 심한 각막 부종이 있는 경우
* 전방이 매우 얕거나 없는 경우<br/ >- 이차성 유착 (포도막염, [[신생혈관 녹내장]], [[홍채 각막내피 증후군]] 등에 의해)
* 전방이 매우 얕거나 없는 경우
* 이차성 유착 (포도막염, [[신생혈관 녹내장]], [[홍채 각막내피 증후군]] 등에 의해)
== 과정 또는 용법 ==
== 과정 또는 용법 ==
# 시술 전 약물 투여 : 시술 1시간 전에 2% pilocarpine을 점안하여 주변부 홍채가 얇아지도록 한다. 높은 안압에 의해 홍채의 동공 조임근이 마비가 되면 pilocarpine에 반응을 하지 않지만 주변부 홍채는 반응한다. 그러나 많이 점안할 경우 수정체가 두꺼워지고 전방이 얕아지기 때문에 시술 전 단지 몇 반울만 점안하는 것이 좋다.<br />시술 후 안압 상승을 줄이기 위해 시술 전 apraclonidine 또는 brimonidine을 점안한다. 각막 부종이 심하여 홍채 표면이 보이지 않는다면 고삼투압 약제를 투여하거나 각막 천자를 한 후 시술할 수도 있다.
# 시술 전 약물 투여 : 시술 1시간 전에 2% pilocarpine을 점안하여 주변부 홍채가 얇아지도록 한다. 높은 안압에 의해 홍채의 동공 조임근이 마비가 되면 pilocarpine에 반응을 하지 않지만 주변부 홍채는 반응한다. 그러나 많이 점안할 경우 수정체가 두꺼워지고 전방이 얕아지기 때문에 시술 전 단지 몇 반울만 점안하는 것이 좋다.<br />시술 후 안압 상승을 줄이기 위해 시술 전 apraclonidine 또는 brimonidine을 점안한다. 각막 부종이 심하여 홍채 표면이 보이지 않는다면 고삼투압 약제를 투여하거나 각막 천자를 한 후 시술할 수도 있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