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센펠드-리거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287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4월 28일 (화)
잔글
잔글 (→‎유전)
 
18번째 줄: 18번째 줄:
* 앞으로 전이된 두드러진 쉬발베선 ([[후태생환]]) : 각막의 360˚에서 나타날 수도 있고 일부에서만 보일 수도 있지만, 이측 각막에서 가장 쉽게 볼 수 있다. 대부분 세극등 현미경 검사로 볼 수 있지만 반드시 나타나지는 않으며, 일부 환자에서는 우각경 검사로만 확인할 수 있다.
* 앞으로 전이된 두드러진 쉬발베선 ([[후태생환]]) : 각막의 360˚에서 나타날 수도 있고 일부에서만 보일 수도 있지만, 이측 각막에서 가장 쉽게 볼 수 있다. 대부분 세극등 현미경 검사로 볼 수 있지만 반드시 나타나지는 않으며, 일부 환자에서는 우각경 검사로만 확인할 수 있다.
* 각막 내피 : 분명한 경계와 정상적인 모자이크 형태를 보인다.
* 각막 내피 : 분명한 경계와 정상적인 모자이크 형태를 보인다.
* 홍채 : 정상인 경우도 있으며 홍채 결손이 경도의 실질 얇아짐에서 열공 형성을
* 홍채 : 정상인 경우도 있으며 홍채 결손이 경도의 실질 얇아짐에서 열공 형성을 가진 중도의 위축에 이르기까지 홍채의 병변도 다양하다. 동공 편위가 있으면 동공은 대개 두드러진 주변 조직 가닥으로 옮겨지고 위축과 열공 형성은 전형적으로 동공 편위의 방향에서 90˚ 떨어진 곳에서 발생한다.
 
== 눈 이외 부위의 이상 ==
== 눈 이외 부위의 이상 ==
특징적인 얼굴은 납작한 얼굴 중앙부와 동반된 위턱뼈 형성 저하증, 양안 과다 격리증, 안각 격리증, 넓고 납작한 콧등, 돌출된 아래 입술이다.<br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치아의 이상은 개수가 적고 크기도 작은 것이다. 과잉 배꼽주위 피부가 자주 동반되는데 제대 탈장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일부 환자는 빈안장 증후군과 성장 호르몬 결핍을 동반한다. 남성의 경우 음경밑 열림이 동반될 수 있다.
특징적인 얼굴은 납작한 얼굴 중앙부와 동반된 위턱뼈 형성 저하증, 양안 과다 격리증, 안각 격리증, 넓고 납작한 콧등, 돌출된 아래 입술이다.<br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치아의 이상은 개수가 적고 크기도 작은 것이다. 과잉 배꼽주위 피부가 자주 동반되는데 제대 탈장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일부 환자는 빈안장 증후군과 성장 호르몬 결핍을 동반한다. 남성의 경우 음경밑 열림이 동반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