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혐기성 그람양성 세균인 Clostridium botulinum에서 생성되는 신경독소인 보툴리눔 독소 (botulinum toxin; BTX) 는 위장관이나 상처를 통해 체내로 유입되면 보툴리눔 독소증(botulism)을 유발하는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강력한 독소 중 하나이다.[line]1989년 사시와 눈꺼풀 연축의 치료 목적으로 FDA 승인을 받은 후 2002년 주름 완화와 같은 미용 목적의 시술이 인정을 받음으로써 여러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 혐기성 그람양성 세균인 Clostridium botulinum에서 생성되는 신경독소인 <b>보툴리눔 독소 (botulinum toxin; BTX)</b> 는 위장관이나 상처를 통해 체내로 유입되면 보툴리눔 독소증(botulism)을 유발하는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강력한 독소 중 하나이다.[line]1989년 사시와 눈꺼풀 연축의 치료 목적으로 FDA 승인을 받은 후 2002년 주름 완화와 같은 미용 목적의 시술이 인정을 받음으로써 여러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 ||
== 병태 생리 == | == 병태 생리 == | ||
콜린성 신경에 대단히 선택적으로 작용하는데, 신경-근 접합부에 도달하면 운동 신경 말단에 존재하는 특정 수용체에 무거운 사슬이 결합하고 신경 독소가 세포 안으로 내재화한다. 이후 분리된 사슬이 효소로 작용하여 아세틸콜린 소포가 세포막과 융합하는데 필요한 운반 단백질, 즉 SNARE(soluble N-ethylmaleimide-sensitive factor attachment protein receptor) 단백을 분해하여 결국 아세틸콜린의 세포외 배출을 방해하고 이로 인해 콜린성 전달의 시냅스 이전 신경-근 차단을 유발하여 해당 근육의 일시적인 탈신경을 이룬다.[line]이 때 혈청형마다 각기 다른 SNARE 단백이 작용하는데, A, C1, E는 세포막에 위치한 SNAP-25(synaptosomal membrane-associated protein 25kD)에, B, D, F, G는 소포에 있는 VAMPs(vesicle-associated membrane proteins; synaptobrevins)에 작용하나, 같은 SNARE 단백일지라도 혈청형마다 서로 다른 위치의 펩타이드 결합을 분리시킨다. 한편 C1은 세포막에 위치한 syntaxin에도 작용한다. | 콜린성 신경에 대단히 선택적으로 작용하는데, 신경-근 접합부에 도달하면 운동 신경 말단에 존재하는 특정 수용체에 무거운 사슬이 결합하고 신경 독소가 세포 안으로 내재화한다. 이후 분리된 사슬이 효소로 작용하여 아세틸콜린 소포가 세포막과 융합하는데 필요한 운반 단백질, 즉 SNARE(soluble N-ethylmaleimide-sensitive factor attachment protein receptor) 단백을 분해하여 결국 아세틸콜린의 세포외 배출을 방해하고 이로 인해 콜린성 전달의 시냅스 이전 신경-근 차단을 유발하여 해당 근육의 일시적인 탈신경을 이룬다.[line]이 때 혈청형마다 각기 다른 SNARE 단백이 작용하는데, A, C1, E는 세포막에 위치한 SNAP-25(synaptosomal membrane-associated protein 25kD)에, B, D, F, G는 소포에 있는 VAMPs(vesicle-associated membrane proteins; synaptobrevins)에 작용하나, 같은 SNARE 단백일지라도 혈청형마다 서로 다른 위치의 펩타이드 결합을 분리시킨다. 한편 C1은 세포막에 위치한 syntaxin에도 작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