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 시야 검사: 두 판 사이의 차이

500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5월 4일 (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b>골드만 시야 검사 (Goldmann perimetry)</b> 로 중심 시야와 주변 시야를 모두 측정할 수 있다. == 정상 결과 == 정상인에서 상측과 비측은 약 60˚...)
 
잔글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 정상 결과 ==
== 정상 결과 ==
정상인에서 상측과 비측은 약 60˚, 하측은 75˚, 이측은 가장 넓어서 110˚ 까지 이르고, 수평 경선의 이측 10~20˚ 사이에 생리적 맹점이 있다.
정상인에서 상측과 비측은 약 60˚, 하측은 75˚, 이측은 가장 넓어서 110˚ 까지 이르고, 수평 경선의 이측 10~20˚ 사이에 생리적 맹점이 있다.
{{외부 사진
|주소=https://www.researchgate.net/profile/Robert_Mullins/publication/49675607/figure/fig4/AS:394359267708934@1471033984480/Goldmann-visual-field-of-the-left-eye-showing-a-near-normal-V4e-isopter-magenta-and-I4e.png
|세로=350
|제목=정상인의 왼눈 골드만 시야 검사 (바깥쪽부터 V4e, I4e, I2e)
|출처=ResearchGate
|링크=https://www.researchgate.net/figure/Goldmann-visual-field-of-the-left-eye-showing-a-near-normal-V4e-isopter-magenta-and-I4e_fig4_49675607
}}
== 장점 ==
== 장점 ==
[[암슬러 격자]]나 자동 시야 검사에 비해 이측 초승달 (temporal crescent) 같이 주변부의 국소적 시야 장애나 보존된 시야, 30˚ 이상의 큰 중심 암점을 확인할 수 있다. 피검자가 자동 시야 검사에 협조하지 못하는 경우, 시력이 0.3 이하로 낮은 경우, 자동 시야 검사에서 전체 감도가 심하게 저하된 환자에서 사용할 수 있다. 정확한 결과를 얻으려면 숙련된 검사자가 시행해야 한다.
[[암슬러 격자]]나 자동 시야 검사에 비해 이측 초승달 (temporal crescent) 같이 주변부의 국소적 시야 장애나 보존된 시야, 30˚ 이상의 큰 중심 암점을 확인할 수 있다. 피검자가 자동 시야 검사에 협조하지 못하는 경우, 시력이 0.3 이하로 낮은 경우, 자동 시야 검사에서 전체 감도가 심하게 저하된 환자에서 사용할 수 있다. 정확한 결과를 얻으려면 숙련된 검사자가 시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