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혈관 == | == 혈관 == | ||
각막은 무혈관 조직이어서 혈관이 존재하지 않으나 혈액의 인자들이 각막의 대사와 창상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안동맥으로부터 분지한 앞섬모체 동맥이 바깥 목동맥의 얼굴 분지와 문합하여 윤부에서 혈관궁을 형성한다. 병적인 상황에서는 신생 혈관이 윤부로부터 각막 기질 내로 진행하여 각막의 투명성이 소실된다. | 각막은 무혈관 조직이어서 혈관이 존재하지 않으나 혈액의 인자들이 각막의 대사와 창상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안동맥으로부터 분지한 앞섬모체 동맥이 바깥 목동맥의 얼굴 분지와 문합하여 윤부에서 혈관궁을 형성한다. 병적인 상황에서는 신생 혈관이 윤부로부터 각막 기질 내로 진행하여 각막의 투명성이 소실된다. | ||
== 신경 == | |||
각막은 신체 부위 중 신경 조직이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는 조직의 하나로서 신경 종말이 표피보다 약 300~400개 더 많다. 신경 분포는 감각 신경이 대부분이며 3차 신경의 첫 번째 분지인 안신경의 섬모체 분지 (ciliary branch) 에서 기원한다. 신경 다발은 공막과 맥락막 사이를 지나 윤부를 통해 각막으로 들어오고 방사형으로 배열되며 각막 상피와 평행하기 진행하여 각막 중심부를 향한다. 신경은 윤부의 약 1mm 바깥쪽에서 신경 다발막 (perineurium) 과 말이집 (myelin sheath) 이 소실되는데, 이는 각막의 투명성에 기여한다. 신경 섬유는 90˚로 꺾여 보우만막을 뚫고 각막 상피를 향해 진행하며, 보우만막과 각막 상피의 바닥막을 교차한 후에는 다시 90˚ 전환하여 각막 상피의 바닥과 평행하게 주행하는데, 이 부위의 신경 다발을 신경끈 (leashes) 이라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