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추각막: 두 판 사이의 차이

141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5월 4일 (월)
잔글
32번째 줄: 32번째 줄:
각막의 모든 층과 조직이 원추각막 병리 과정에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빈도로 중심 상피가 얇아지며, 바닥 상피세포의 퇴행 이후 상피 바닥막이 파괴될 수 있다. 상피층의 균열로 인해 상피가 보우만층쪽으로 자라고 아교질이 상피쪽으로 자라서 보우만층에 Z 모양의 단절이 생긴다.<br />또 다른 특징은 원추의 바닥에서 보이는 <span style='color:blue;'>플라이셔 고리</span>이다. 광학 현미경과 전자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span style='color:blue;'>ferritin 입자가 상피세포 내부 및 사이에 축적</span>되는 것이 밝혀졌다. 원추각막 아교질 원섬유에 대한 연구 결과 섬유의 크기는 정상이지만 숫자가 비정상적으로 낮은 것이 발견되었다. 원추 내의 아교질 숫자는 원추 밖에 비해 절반 이하(41%)였다.<br />각막 내피세포에서는 다형성과 다형태성이 나타나는데, 이는 환자가 오랫동안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여 일어난 변화와 구별하기 어렵다.
각막의 모든 층과 조직이 원추각막 병리 과정에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빈도로 중심 상피가 얇아지며, 바닥 상피세포의 퇴행 이후 상피 바닥막이 파괴될 수 있다. 상피층의 균열로 인해 상피가 보우만층쪽으로 자라고 아교질이 상피쪽으로 자라서 보우만층에 Z 모양의 단절이 생긴다.<br />또 다른 특징은 원추의 바닥에서 보이는 <span style='color:blue;'>플라이셔 고리</span>이다. 광학 현미경과 전자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span style='color:blue;'>ferritin 입자가 상피세포 내부 및 사이에 축적</span>되는 것이 밝혀졌다. 원추각막 아교질 원섬유에 대한 연구 결과 섬유의 크기는 정상이지만 숫자가 비정상적으로 낮은 것이 발견되었다. 원추 내의 아교질 숫자는 원추 밖에 비해 절반 이하(41%)였다.<br />각막 내피세포에서는 다형성과 다형태성이 나타나는데, 이는 환자가 오랫동안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여 일어난 변화와 구별하기 어렵다.
== 검사 및 진단 ==
== 검사 및 진단 ==
- 각막 곡률계 : 중심부 각막에 각막 곡률계 고리를 투영할 수 없는 <span style='color:blue;'>불규칙 각막 난시</span>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진단할 수 있는 각막 만곡의 정확한 수치는 없다. 원추각막이 아니면서 각막 만곡치가 높거나 고도 난시를 보이는 환자가 있는가 ㅎ면, 원추각막이지만 각막 중심의 만곡이 정상인 환자도 있다. 하방의 각막 가파름 또한 원추각막의 초기 소견이다. 중심 부위 각막 만곡을 측정한 후 상방 주시 때의 각막 만곡도를 측정하면 하측 각막의 경사를 알 수 있다.
* 각막 곡률계 : 중심부 각막에 각막 곡률계 고리를 투영할 수 없는 <span style='color:blue;'>불규칙 각막 난시</span>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진단할 수 있는 각막 만곡의 정확한 수치는 없다. 원추각막이 아니면서 각막 만곡치가 높거나 고도 난시를 보이는 환자가 있는가 ㅎ면, 원추각막이지만 각막 중심의 만곡이 정상인 환자도 있다. 하방의 각막 가파름 또한 원추각막의 초기 소견이다. 중심 부위 각막 만곡을 측정한 후 상방 주시 때의 각막 만곡도를 측정하면 하측 각막의 경사를 알 수 있다.
 
Rabinowitz는 원추 각막 환자의 초기 진단에 도움이 되는 네 가지 비디오 각막 지표들을 제시하였다.
# 47.2 D
 
== 비수술적 치료 ==
== 비수술적 치료 ==
=== 콘택트 렌즈 ===
=== 콘택트 렌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