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혈관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367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5월 6일 (수)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선홍색 반점으로 보이며 때로는 점출혈과의 구분이 힘든데, 직경이 125㎛ 이하이고 원형의 경계가 날카로우면 미세혈관류로, 크기가 크면서 불규칙한 경계와 색조를 보이는 경우는 출혈로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확한 구분이 힘들고 예후 측면에서 이런 구분이 큰 의의가 없기 때문에, 임상적으로는 출혈과 미세혈관류를 묶어 한 가지 안저 소견으로 생각하고 단계 평가한다.<br />분포 양상은 전반적으로 퍼져 있거나 황반에 집중되어 나타날 수 있다. 망막 출혈이나 경성 삼출물, 두꺼워진 망막과 연관되어 관찰될 때는 이런 출혈이나 누출의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다.
선홍색 반점으로 보이며 때로는 점출혈과의 구분이 힘든데, 직경이 125㎛ 이하이고 원형의 경계가 날카로우면 미세혈관류로, 크기가 크면서 불규칙한 경계와 색조를 보이는 경우는 출혈로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확한 구분이 힘들고 예후 측면에서 이런 구분이 큰 의의가 없기 때문에, 임상적으로는 출혈과 미세혈관류를 묶어 한 가지 안저 소견으로 생각하고 단계 평가한다.<br />분포 양상은 전반적으로 퍼져 있거나 황반에 집중되어 나타날 수 있다. 망막 출혈이나 경성 삼출물, 두꺼워진 망막과 연관되어 관찰될 때는 이런 출혈이나 누출의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다.
{{외부 사진
|주소=https://d3i71xaburhd42.cloudfront.net/9120336eb6e28354730d57c7e691a10e4faffc77/1-Figure1-1.png
|세로=254
|제목=당뇨 환자에서의 망막 미세혈관류
|출처= Semanticscholar.org
|링크=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Detection-of-retinal-microaneurysms-using-fractal-Roy-Aruchamy/9120336eb6e28354730d57c7e691a10e4faffc77
}}
== 검사 및 진단 ==
== 검사 및 진단 ==
FA에서는 안저검사에서보다 더 많은 미세혈관류를 관찰할 수 있는데, 대부분 모세혈관 비관류 부위 주위에서 볼 수 있다. 초기 정맥기에 혈관이 충만되어 작은 과형광 반점으로 나타나서 후기로 가면서 대부분 누출을 보인다. 이 때 점출혈은 형광 차단에 의한 저형광을 보여, 둘 사이의 구분이 가능해진다.
FA에서는 안저검사에서보다 더 많은 미세혈관류를 관찰할 수 있는데, 대부분 모세혈관 비관류 부위 주위에서 볼 수 있다. 초기 정맥기에 혈관이 충만되어 작은 과형광 반점으로 나타나서 후기로 가면서 대부분 누출을 보인다. 이 때 점출혈은 형광 차단에 의한 저형광을 보여, 둘 사이의 구분이 가능해진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