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내 미세혈관 이상: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5월 6일 (수)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6번째 줄:
|출처=Glycosmedia
|출처=Glycosmedia
|링크=https://www.glycosmedia.com/education/diabetic-retinopathy/diabetic-retinopathy-features-of-diabetes-intraretinal-microvascular-abnormalities-irmas/
|링크=https://www.glycosmedia.com/education/diabetic-retinopathy/diabetic-retinopathy-features-of-diabetes-intraretinal-microvascular-abnormalities-irmas/
}
}}
== 병태 생리 ==
== 병태 생리 ==
세동맥과 모세혈관 폐쐐에 따르는 저산소증에 대한 반응으로 생긴 망막내 신생 혈관이라는 주장과, 세동맥과 세정맥 사이의 이런 shunt 혈관이 먼저 생겨서 혈류가 모세혈관을 거치지 않게 되고, 따라서 모세혈관의 폐쇄가 뒤따른다는 주장이 있다.
세동맥과 모세혈관 폐쐐에 따르는 저산소증에 대한 반응으로 생긴 망막내 신생 혈관이라는 주장과, 세동맥과 세정맥 사이의 이런 shunt 혈관이 먼저 생겨서 혈류가 모세혈관을 거치지 않게 되고, 따라서 모세혈관의 폐쇄가 뒤따른다는 주장이 있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