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안저 소견) |
|||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 후유리체 박리, 유리체 출혈 및 망막앞 출혈 === | === 후유리체 박리, 유리체 출혈 및 망막앞 출혈 === | ||
* 후유리체 박리 | * 후유리체 박리 | ||
* 유리체 출혈 : 신생 혈관에 대한 유리체 견인은 약한 신생 혈관을 파열시켜 유리체강내 출혈을 일으킨다. 박리된 뒤유리체면 뒤쪽 공간의 액화된 유리체에서는 출혈이 퍼져 나타나며 흡수될 때까지 붉은 색을 띠는데, 그 기간은 수 주에 서 수개 월 걸린다. 반면 겔 상태 유리체 내에서의 출혈은뭉쳐 나타니며 흡수가 더 느린데, 다 흡수될 무렵에는 뿌연 흰색을 띤다. 때로 후극부의 뒤유리체 면에 구멍이 생기면 앞쪽의 겔유리체가 이를 통해 뒤로 | * 유리체 출혈 : 신생 혈관에 대한 유리체 견인은 약한 신생 혈관을 파열시켜 유리체강내 출혈을 일으킨다. 박리된 뒤유리체면 뒤쪽 공간의 액화된 유리체에서는 출혈이 퍼져 나타나며 흡수될 때까지 붉은 색을 띠는데, 그 기간은 수 주에 서 수개 월 걸린다. 반면 겔 상태 유리체 내에서의 출혈은뭉쳐 나타니며 흡수가 더 느린데, 다 흡수될 무렵에는 뿌연 흰색을 띤다. 때로 후극부의 뒤유리체 면에 구멍이 생기면 앞쪽의 겔유리체가 이를 통해 뒤로 빠져나가 겔유리체 내 출혈이 박리된 뒤쪽 공간에서 관찰되기도 한다. | ||
* 망막앞 출혈 : 응고되지 않아 수면 (fluid level) 을 보이는 배 모양의 출혈과, 망막 앞이나 내경계막 아래 피떡처럼 얹혀있는 형태가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 황반에 위치할 때 황반앞 출혈 (premacular hemorrhage) 이라고 부르는데, 출혈이 흡수되고 난 후에도 황반에 심한 섬유화 증식이나 [[견인 망막 박리]]가 생기는 경우가 많아 조기 유리체 절제술의 대상이 된다. | * 망막앞 출혈 : 응고되지 않아 수면 (fluid level) 을 보이는 배 모양의 출혈과, 망막 앞이나 내경계막 아래 피떡처럼 얹혀있는 형태가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 황반에 위치할 때 황반앞 출혈 (premacular hemorrhage) 이라고 부르는데, 출혈이 흡수되고 난 후에도 황반에 심한 섬유화 증식이나 [[견인 망막 박리]]가 생기는 경우가 많아 조기 유리체 절제술의 대상이 된다. | ||
=== 섬유화 증식, 견인 망막 박리 === | === 섬유화 증식, 견인 망막 박리 === | ||
=== 퇴행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 (involutional PDR) === | === 퇴행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 (involutional PDR) === | ||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은 계속 진행되다 때로는 퇴행기를 맞게 된다. 심하게 유착된 부위를 제외하고는 뒤유리체 박리가 모두 일어나고 섬유 혈관 증식도 멈춘 상태가 된다. 대개 [[견인 망막 박리]]가 있는데, 견인하는 섬유 조직이나 망막이 모두 얇아 보이며, 시신경 유두는 창백하고, 망막 세동맥은 가늘어진다. 반면 망막 출혈이나 미세혈관류 등의 변화는 사라져, 언뜻 보기에는 당뇨 망막병증이 심하지 않은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 때 시력은 대개 불량한데 그 원인은 황반이 포함된 견인 망막 박리나 황반 허혈, 오래 지속된 황반 부종, 시신경 병증 때문이다. |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은 계속 진행되다 때로는 퇴행기를 맞게 된다. 심하게 유착된 부위를 제외하고는 뒤유리체 박리가 모두 일어나고 섬유 혈관 증식도 멈춘 상태가 된다. 대개 [[견인 망막 박리]]가 있는데, 견인하는 섬유 조직이나 망막이 모두 얇아 보이며, 시신경 유두는 창백하고, 망막 세동맥은 가늘어진다. 반면 망막 출혈이나 미세혈관류 등의 변화는 사라져, 언뜻 보기에는 당뇨 망막병증이 심하지 않은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 때 시력은 대개 불량한데 그 원인은 황반이 포함된 견인 망막 박리나 황반 허혈, 오래 지속된 황반 부종, 시신경 병증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