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황반부종: 두 판 사이의 차이

578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5월 7일 (목)
잔글
잔글 (→‎분류)
16번째 줄: 16번째 줄:


== 검사 및 진단 ==
== 검사 및 진단 ==
* 세극등을 통하여 입체시를 이용한 고배율의 안저 검사가 가장 기본적인 검사이다. 이를 위해 90 디옵터 렌즈 등의 비접촉성 렌즈 혹은 골드만 삼면경 등의 접촉성 렌즈가 필요하다.
* 세극등 : 입체시를 이용한 고배율의 안저 검사가 가장 기본적인 검사이다. 이를 위해 90 디옵터 렌즈 등의 비접촉성 렌즈 혹은 골드만 삼면경 등의 접촉성 렌즈가 필요하다.
* FA : 진단에 필수적이지는 않으나 국소 황반 부종의 주원인인 미세 혈관류나 확산 부종의 경계 및 모세혈관 비관류 등을 파악하고 허혈 황반병증 정도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된다.
* FA : 진단에 필수적이지는 않으나 국소 황반 부종의 주원인인 미세 혈관류나 확산 부종의 경계 및 모세혈관 비관류 등을 파악하고 허혈 황반병증 정도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된다.
* OCT :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어서 현재는 보편적으로 사용된다.[line
* OCT :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어서 현재는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 망막 지형도 등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부종의 영역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다.
# 부종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정량화할 수 있어 치료 전후의 평가 혹은 연구 간의 비교에도 유용하다. 단, 당뇨 황반 부종에서 황반 두께의 증가와 시력 감퇴 간에는 절대적으로 일치하지는 않으며 중등도의 상관성만 있다.
# 안저 검사 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망막 외층의 부종, [[망막하액]], 유리체 황반 견인 등을 보여줌으로써 치료 방향의 설정에 도움이 된다.
 
== 비수술적 치료 ==
== 비수술적 치료 ==
* 유리체강 내 스테로이드 주사
* 유리체강 내 스테로이드 주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