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b>국소 레이저 (focal laser)</b> 라는 용어는 넓은 의미로, 범망막 광응고술과 대비되어, 황반 부종에 대한 광응고 치료 전체를 뜻하며, 좁...) |
잔글 (→시술 방법)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주로 미세혈관류인 누출점을 광응고로 폐쇄시켜 누출을 막는다. 미만 황반 부종에 대한 격자 레이저 치료는 주로 망막 색소 상피층과 시세포층에 화상을 일으킨다. 격자 레이저치료로 인한 회상은 외측 혈액 망막 장벽을 일시적으로 파괴시키지만 이후에는 주위의 망막색소상피 세포들이 증식하여 파괴된 세포를 대치 하고 서로 밀착 결합하여, 몇 주 내에 튼튼한 장벽을 회복하게 된다. 한편으로는 많은 산소를 소모하는 시세포 일부를 파괴시켜 망막내층의 산소 분압을 증가시킴으로써 혈류가 감소되고 누출도 감소될 것으로 추측한다. | 주로 미세혈관류인 누출점을 광응고로 폐쇄시켜 누출을 막는다. 미만 황반 부종에 대한 격자 레이저 치료는 주로 망막 색소 상피층과 시세포층에 화상을 일으킨다. 격자 레이저치료로 인한 회상은 외측 혈액 망막 장벽을 일시적으로 파괴시키지만 이후에는 주위의 망막색소상피 세포들이 증식하여 파괴된 세포를 대치 하고 서로 밀착 결합하여, 몇 주 내에 튼튼한 장벽을 회복하게 된다. 한편으로는 많은 산소를 소모하는 시세포 일부를 파괴시켜 망막내층의 산소 분압을 증가시킴으로써 혈류가 감소되고 누출도 감소될 것으로 추측한다. | ||
== 시술 방법 == | == 시술 방법 == | ||
안저 검사 및 빛간섭 단층 촬영으로 파악한 두꺼워진 망막에 대해, 형광 안저 혈관 조영을 참조하여 망막 혈관 이상 부위에 레이저를 시행한다. 치료범위는 황반 중심으로부터 500~3,000㎛ 사이에 시행하는 것이 보통이다. 미세혈관류는 | 안저 검사 및 빛간섭 단층 촬영으로 파악한 두꺼워진 망막에 대해, 형광 안저 혈관 조영을 참조하여 망막 혈관 이상 부위에 레이저를 시행한다. 치료범위는 황반 중심으로부터 500~3,000㎛ 사이에 시행하는 것이 보통이다. 미세혈관류는 형광 안저 혈관 조영에서 더 많이 보이며, 확산 부종의 경계 및 모세혈관 비관류 부위를 파악할 수 있다. 누출 형태에 따라, 미세혈관류 혹은 [[망막내 혈관 이상]]에 의한 국소 누출 부위에는 직접 레이저 치료를 하고, 미만 누출 부위와 모세혈관 비관류 부위에는 격자 레이저 치료를 하며, 두 가지가 함께 있다면 두 치료를 병행한다.<br />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레이저의 종류에는 아르곤, 크립톤, 색소 (dye), 다이오드 레이저 등이 있다. 이론적으로는 직접 레이저 치료에서 는 혈색소에 흡수가 잘되는 노랑 색소 레이저가 장점이 많지만, 아르곤 초록 파장도 자주 이용된다. 단, 파랑 레이저 (argon blue-green) 는 황반에 많이 분포한 엽황소에 흡수가 잘 되므로 사용을 피해야 한다. | ||
있다. 누출 형태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