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개회충증: 두 판 사이의 차이

1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5월 12일 (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눈 개회충증 (ocular toxocariasis) 은 유충이 혈액을 따라 눈을 침범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다.
눈 개회충증 (ocular toxocariasis) 은 유충이 혈액을 따라 눈을 침범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다.
== 역학 ==
== 역학 ==
환자의 연령은 보고에 따라 6.4~5*7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발병률은 미국 알리바마 주에서 6개월 간 인구 1,000명 당 환자 1명이 보고되었으며, 아일랜드에서 취학 아동 10만명 당 9.7명, 일본에서 전체 포도막염 환자의 *1%의 유병률을 보였다. 한국의 경우 농촌 지역 성인 인구의 5%에서 개회충증 항체 양성 소견을 보였으며 눈 개회충증의 발병률은 아직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대다수의 보고에서 남성에서 더 흔하게 발생하며, 국내 연구에서 남녀비는 약 3:1로 보고되었다.
환자의 연령은 보고에 따라 6.4~51.7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발병률은 미국 알리바마 주에서 6개월 간 인구 1,000명 당 환자 1명이 보고되었으며, 아일랜드에서 취학 아동 10만명 당 9.7명, 일본에서 전체 포도막염 환자의 *1%의 유병률을 보였다. 한국의 경우 농촌 지역 성인 인구의 5%에서 개회충증 항체 양성 소견을 보였으며 눈 개회충증의 발병률은 아직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대다수의 보고에서 남성에서 더 흔하게 발생하며, 국내 연구에서 남녀비는 약 3:1로 보고되었다.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 후극부 육아종 : 대부분 1 시신경유두 직경 이하의 국소적인 백색 혹은 회색의 망막하 혹은 망막내 염증성 종괴가 망막 후극부에 존재하는 경우를 일컫는다. 급성 염증 혹은 유리체 혼탁을 동반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육아종 주변에 색소 침착을 동반하기도 한다.
* 후극부 육아종 : 대부분 1 시신경유두 직경 이하의 국소적인 백색 혹은 회색의 망막하 혹은 망막내 염증성 종괴가 망막 후극부에 존재하는 경우를 일컫는다. 급성 염증 혹은 유리체 혼탁을 동반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육아종 주변에 색소 침착을 동반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