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임상 소견)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초기 증상으로 중심 시력 저하, 시야 결손 등이 있으며 동통은 동반되지 않는다. | 초기 증상으로 중심 시력 저하, 시야 결손 등이 있으며 동통은 동반되지 않는다. | ||
* 시력 저하 : <span style='color:blue;'>대개 아침에 일어나서, 혹은 낮잠에서 깨어날 때 시력 저하</span>를 느끼는데( | * 시력 저하 : <span style='color:blue;'>대개 아침에 일어나서, 혹은 낮잠에서 깨어날 때 시력 저하</span>를 느끼는데(51.8%), 특히 아침에 일어나서 시력 저하를 느끼는 경우가 21.5%나 된다. 시력 저하의 정도는 1.0부터 광각 상실까지 차이가 많다. | ||
* <span style='color:blue;'>색각 이상 : 시신경염일 때와 달리 시력 저하와 비례</span>한다. | * <span style='color:blue;'>색각 이상 : 시신경염일 때와 달리 시력 저하와 비례</span>한다. | ||
*시야 결손 : 모든 예에서 관찰되는데 증상이 경미하면 잘 발견되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수평 시야 결손은 위보다는 아래 수평 시야 결손이 많고 비측 하방 시야 결손이 가장 흔한 형태이며 중심 암점, 궁상 암점, 사분맹, 주변부 협착 등 여러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 *시야 결손 : 모든 예에서 관찰되는데 증상이 경미하면 잘 발견되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수평 시야 결손은 위보다는 아래 수평 시야 결손이 많고 비측 하방 시야 결손이 가장 흔한 형태이며 중심 암점, 궁상 암점, 사분맹, 주변부 협착 등 여러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 ||
* 구심성 동공 장애 : 병변이 있는 눈에 있다. | * 구심성 동공 장애 : 병변이 있는 눈에 있다. | ||
* 검안경 소견 : 시신경 유두는 국소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부어 있으며 국소적으로 부어 있을 때는 대개 시야결손 부위와 일치한다. | * 검안경 소견 : 시신경 유두는 국소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부어 있으며 국소적으로 부어 있을 때는 대개 시야결손 부위와 일치한다. | ||
== 비수술적 치료 == | == 비수술적 치료 == | ||
* 전신적 스테로이드 : 아교질병과 그 외의 혈관염 또는 당뇨병이 원인인 경우 시력 회복에 도움이 된다. 유두 종창이 있는 초기에 치료를 시작해야 하며, 시신경 위축이 발생한 눈에는 효과가 없다. 부종이 있으면 적어도 80mg 이상의 prednisone을 2주 정도 사용한 다음 40mg으로 줄여 유두의 부종이 없어질 때까지 사용하며 그 이후에는 차츰 줄여가서 6~8주 안에 치료를 마친다. | * 전신적 스테로이드 : 아교질병과 그 외의 혈관염 또는 당뇨병이 원인인 경우 시력 회복에 도움이 된다. 유두 종창이 있는 초기에 치료를 시작해야 하며, 시신경 위축이 발생한 눈에는 효과가 없다. 부종이 있으면 적어도 80mg 이상의 prednisone을 2주 정도 사용한 다음 40mg으로 줄여 유두의 부종이 없어질 때까지 사용하며 그 이후에는 차츰 줄여가서 6~8주 안에 치료를 마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