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새 문서: 시신경염 (optic neuritis; ON) 은 급성 특발성 탈수초성 시신경염 (acute idiopathic demyelinating optic neuritis) 이라고도 하며, 일차적으로 탈수초성 질...) |
잔글 (→내과적 치료)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 내과적 치료 == | == 내과적 치료 == | ||
* 스테로이드 : ONTT의 보고에 따르면 457명의 시신경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위약군에 비해서 <span style='color:blue;'>정맥 주입군의 시력 회복이 훨씬 빨랐으나</span> 오랫동안 지속되는 효과는 없었고 1년 후 두 군의 시력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span style='color:blue;'>경구 투여군에서는 약물이 시력 회복에 도움을 주지 못했을뿐더러 시신경염의 재발률이 증가</span>했다. | * 스테로이드 : ONTT의 보고에 따르면 457명의 시신경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위약군에 비해서 <span style='color:blue;'>정맥 주입군의 시력 회복이 훨씬 빨랐으나</span> 오랫동안 지속되는 효과는 없었고 1년 후 두 군의 시력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span style='color:blue;'>경구 투여군에서는 약물이 시력 회복에 도움을 주지 못했을뿐더러 시신경염의 재발률이 증가</span>했다. | ||
* 정맥 내 면역글로불린 : | === 기타 치료 === | ||
* 혈장 분리 교환술 (plasmapheresis) :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탈수초 시신경염에 효과적이라는 보고가 있따. 다만 연구가 많지 않아서 근거가 약하나, 고용량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심한 시력 손상을 보이는 시신경염 환자에게 고려할 수 있다. | |||
* 정맥 내 면역글로불린 (intravenous immunoglobulin; IVIG) : 장기적인 시력 회복이나 급성 시신경염 이후의 시유발 전위 잠복기에 아무 영향이 없었고, 시기능 회복에도 도움이 되지 않았다. | |||
* erythropoietin : 최근 시신경염에 erythropoietin과 위약을 사용한 무작위 이중 맹검 다기관 연구 (Treatment of Optic Neuritis with Erythropoietin) 에 따르면 OCT로 관찰한 결과 erythropoietin 투여군에서 이측 망막 신경 섬유층 두께가 호전되었다고 한다. 앞으로 erythropoietin 에 대한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겠다. | |||
그 외에 이중 맹검 다기관 연구는 아니지만 simbastatin, phenytoin, opicinumab 등이 시도된 바 있다. | |||
== 예후 == | == 예후 == | ||
시력은 대개 발병 후 5주 정도에 상당히 회복된다. 초기 시력 감소 후 6개월 이내에 75%에서 20/30 이상, 87%에서 20/40 이상, 8%에서 20/200 이하로 대부분 시력이 회복된다. | 시력은 대개 발병 후 5주 정도에 상당히 회복된다. 초기 시력 감소 후 6개월 이내에 75%에서 20/30 이상, 87%에서 20/40 이상, 8%에서 20/200 이하로 대부분 시력이 회복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