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9
번
(새 문서: <b>방사선 시신경병증 (radiation optic neuropathy; RON)</b> 은 뇌나 안와에 방사선 치료를 바은 뒤 수 개월에서 수 년후 비가역적이고 심한 시력 저...)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 병인 == | == 병인 == | ||
기전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혈관 손상이 먼저 일어나고 그로 인해 신경이 이차 손상을 입는 것으로 보이는데, 증식하는 아교세포 손상이 선행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방사선 치료로 아교세포에 돌연변이가 생기고 대사 이상이 있는 세포로 증식되면 점차 탈수초 현상과 신경 변성을 초래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비슷한 변화가 혈관 내피세포에도 생겨 혈관 폐쇄와 괴사를 일으킬 수 있다. 아교세표와 혈관내피세포 모두 세포 전환 주기가 긴 것이 지연된 증상 발현의 이유일지 모른다. 다양한 병리 소견이 신경세포의 탈수초화 변성이 혈관 변화보다 먼저 나타나는 것이 가설을 뒷받침한다. | 기전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혈관 손상이 먼저 일어나고 그로 인해 신경이 이차 손상을 입는 것으로 보이는데, 증식하는 아교세포 손상이 선행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방사선 치료로 아교세포에 돌연변이가 생기고 대사 이상이 있는 세포로 증식되면 점차 탈수초 현상과 신경 변성을 초래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비슷한 변화가 혈관 내피세포에도 생겨 혈관 폐쇄와 괴사를 일으킬 수 있다. 아교세표와 혈관내피세포 모두 세포 전환 주기가 긴 것이 지연된 증상 발현의 이유일지 모른다. 다양한 병리 소견이 신경세포의 탈수초화 변성이 혈관 변화보다 먼저 나타나는 것이 가설을 뒷받침한다. | ||
== 임상 양상 == | |||
증상은 한 눈 또는 두 눈의 급성, 무통성 시력 저하로 나타난다. 두 눈에 나타날 경우 순차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며 한 쪽이 더 심하게 발현하기도 한다. 방사선 치료 후 짧게는 3개월, 길게는 8년 후까지 발생하는데 대부분 3년 이내에 발병하고 가장 흔한 시기는 1.5년이다. 시력 저하의 정도는 다양한데, 대개 몇 주에서 몇 개월 동안 진행한다. 회복은 드물고 최종 시력이 무광각인 경우가 45%에 이른다. 85%의 환자가 최종 시력이 0.1 이하이다.<br/> 시신경 유두는 처음 발견될 때부터 창백한 환자가 많으나 부종이 있는 경우도 있다. 초기에 [[시신경 유두 부종]]이 발견되는 경우는 방사선 망막병증과 함께 면화반, 경성 삼출물, 망막 출혈이 나타나기도 한다. 수평 반시야 결손이나 중심 암점 등의 시야 이상이 보일 수 잇는데 시신경 교차 부위가 손상된 경우 연접부 암점 (junctional scotoma) 이나 양이측 반맹 등의 소견이 보일 수도 있어서 종야의 재발과 감별이 어려울 수도 있다. | |||
== 감별 진단 == | == 감별 진단 == | ||
원발 종양의 재발, 빈 안장 증후군, 거미막염, 방사선 치료로 인한 이차 종양 등을 감별해야 한다. 이 질환들은 방사선 시신경병증에 비해 진행 속도가 느리다. | 원발 종양의 재발, 빈 안장 증후군, 거미막염, 방사선 치료로 인한 이차 종양 등을 감별해야 한다. 이 질환들은 방사선 시신경병증에 비해 진행 속도가 느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