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시신경 유두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199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5월 21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b>당뇨 시신경 유두병증 (diabetic papillopathy)</b> == 역학 == 젊은 1형 당뇨 환자에서 갑작스럽게 한 눈 또는 두 눈의 시신경 유두 부종이 생기...)
 
잔글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젊은 1형 당뇨 환자에서 갑작스럽게 한 눈 또는 두 눈의 시신경 유두 부종이 생기는데, 시신경병증에서 보이는 시야 이상이나 동공 이상이 보이지 않는 경우가 전형적이다. 나이 든 2형 당뇨 환자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대부분 50세 이하에 발생하나 어느 연령대에서도 생길 수 있다.
젊은 1형 당뇨 환자에서 갑작스럽게 한 눈 또는 두 눈의 시신경 유두 부종이 생기는데, 시신경병증에서 보이는 시야 이상이나 동공 이상이 보이지 않는 경우가 전형적이다. 나이 든 2형 당뇨 환자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대부분 50세 이하에 발생하나 어느 연령대에서도 생길 수 있다.
== 병인 ==
== 병인 ==
아직 확실하지 않다. 포도당 대사 이상으로 시신경에 독성 손상이 일어난 것이거나 시신경 유두 내부 혈관의 손상으로 미세혈관 누출이 일어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많은 연구자들은 이것이 [[비동맥염성 앞허혈 시신경병증|NAION]]의 경미한 형태일 것이라고 주장한다.
아직 확실하지 않다. 포도당 대사 이상으로 시신경에 독성 손상이 일어난 것이거나 시신경 유두 내부 혈관의 손상으로 미세혈관 누출이 일어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많은 연구자들은 이것이 [[비동맥염성 앞허혈 시신경병증|NAION]]의 경미한 형태일 것이라고 주장한다. 허혈에 의한 시신경 유두 부종이 기능 손상을 야기하지 않으면 당뇨 시신경 유두 병증, 비가역적 손상을 초래하면 NAION 으로 발현하게 된다는 것이다.
== 진단 기준 ==
== 진단 기준 ==
# 당뇨병 (1형 70%, 2형 30%)
# 당뇨병 (1형 70%, 2형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