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시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크기가 바뀐 것이 없음 ,  2020년 5월 21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b>소시증 (micropsia)</b> 은 보이는 상이 실제보다 작아 보이는 상태로 시각적 왜곡 중 가장 흔하다. == 원인 == 가능한 원인으로는 눈모음 조...)
 
잔글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 원인 ==
== 원인 ==
가능한 원인으로는 눈모음 조절에서 나타나는 생리적 소시증, 심리적 소시증, 황반 부종 같은 망막 소시증 등이 있다. 중추성 소시증은 드문 질환으로 병변의 위치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소아의 편두통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가장 흔하며, 최면이나 발열 상태에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망막 소시증과 달리 항상 양안성으로 나타난다.
가능한 원인으로는 눈모음 조절에서 나타나는 생리적 소시증, 심리적 소시증, 황반 부종 같은 망막 소시증 등이 있다. 중추성 소시증은 드문 질환으로 병변의 위치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소아의 편두통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가장 흔하며, 최면이나 발열 상태에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망막 소시증과 달리 항상 양안성으로 나타난다.
== {{출처}} ==
== {{참고}} ==
# {{신경안과}}
# {{신경안과}}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