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공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583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5월 25일 (월)
잔글
잔글 (→‎증상)
7번째 줄: 7번째 줄:
* 단순 상공막염 : 결절 없이 상공막에 혈관의 울혈만 존재한다.
* 단순 상공막염 : 결절 없이 상공막에 혈관의 울혈만 존재한다.
* 결절 상공막염 : 경계가 뚜렷하고, 염증이 있는 부위가 융기되어 있다.
* 결절 상공막염 : 경계가 뚜렷하고, 염증이 있는 부위가 융기되어 있다.
== 증상 ==
== 임상 양상 ==
* 단순형 : 갑자기 발생하며, 환자가 통증이 시작된 시간을 대부분 정확히 기억한다.
* 단순형 : 갑자기 발생하며, 환자가 통증이 시작된 시간을 대부분 정확히 기억한다.
* 결절형 : 더 서서히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증상이 없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통증이 동반되는 경우 대개 이물감 같은 경한 불편을 느끼는 정도이다. 매우 드물게 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는 공막염이 아닌지 의심해봐야 한다. 눈부심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으며, 염증이 있는 부위에 국한된 압통이 동반되기도 한다.
* 결절형 : 더 서서히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증상이 없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통증이 동반되는 경우 대개 이물감 같은 경한 불편을 느끼는 정도이다. 매우 드물게 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는 공막염이 아닌지 의심해봐야 한다. 눈부심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으며, 염증이 있는 부위에 국한된 압통이 동반되기도 한다.
시력은 대개 영향을 받지 않으며, 심한 경우 결막 부종이나 눈꺼풀 부종을 동반하기도 한다. 안구 결막의 충혈은 붉은색을 띠며, 자연광으로 관찰하면 보랏빛이 도는 공막염과 구별할 수 있다. 공막염의 충혈은 전형적으로 눈꺼풀 틈새에 발생한다. 방사상으로 진행되는 표층 상공막 모세혈관망의 혈관은 충혈되어 있지만 정상적인 형태를 유지한다. 만약 정상적인 혈관 구조가 변형된 경우는 공막을 침범한 염증이 있음을 의미한다.
== 진단 ==
== 진단 ==
* 2.5% phenylephrine 점안 : 결막의 혈관만 하얗게 되어 더 아래쪽의 혈관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결막염과 상공막염을 감별할 수 있다.
* 2.5% phenylephrine 점안 : 결막의 혈관만 하얗게 되어 더 아래쪽의 혈관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결막염과 상공막염을 감별할 수 있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