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 공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742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5월 25일 (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b>감염 공막염 (infectious scleritis)</b> == 역학 == 감염에 의한 경우는 드물어 3차 병원에 오는 환자의 4~18%를 차지한다. == 분류 == * 외인성 감염...)
 
잔글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5번째 줄:
* 외인성 감염 : 가장 흔하며, 외상 후나 수술 후 감염, 주변 안구 감염의 확산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급성, 화농성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 외인성 감염 : 가장 흔하며, 외상 후나 수술 후 감염, 주변 안구 감염의 확산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급성, 화농성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 내인성 감염 : 드물게 나타나며, 비감염성의 광범위, 결절성, 괴사 공막염과 유사하게 보인다. 매독이나 결핵 같은 전신적 감염에 의한 공막염은 이 범주에 속한다.
* 내인성 감염 : 드물게 나타나며, 비감염성의 광범위, 결절성, 괴사 공막염과 유사하게 보인다. 매독이나 결핵 같은 전신적 감염에 의한 공막염은 이 범주에 속한다.
== 원인 ==
세균,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 모두가 공막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원인균은 다양한 방식으로 공막에 도달해 감염을 일으킨다. 가장 가능성이 있는 경로는 인접한 안구 기관으로부터 오는 것이다. 주변 각막의 각막염으로부터 균주가 이동하여 공막이 감염되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결막이나 안와 조직의 감염은 공막에 거의 침범하지 않으나,드물게 안와 연조직염이나 눈물주머니염, 부비강염, 심한 결막염에서 공막염 이 발생하기도 한다. 병의 증상이나 경과 같은 임상양상은 원인 균주에 따라 다르며, 나타날 수 있는 임상양상은 무수히 많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