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각공막염)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 임상 양상 == | == 임상 양상 == | ||
=== 각공막염 === | === 각공막염 === | ||
대부분은 각막의 심한 세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지만, 바이러스나 진균, 기생충에 의한 각막염도 각공막염으로 발전할 수 있다. 그람 음성균, 특히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이 가장 흔하게 각막에서 공막으로 전염된다 각막염이 없는 Pseudomonas 공막염 또한 보고되어 있다.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pneumonia, Mycobacterium chelonei, herpes simplex virus, herpes zoster virus, Aspergil1us, Acremonium, Acanthoamoeba도 각공막염을 일으킨다고 보고되어왔다. 특히 AIDS 환자처럼 | 대부분은 각막의 심한 세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지만, 바이러스나 진균, 기생충에 의한 각막염도 각공막염으로 발전할 수 있다. 그람 음성균, 특히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이 가장 흔하게 각막에서 공막으로 전염된다 각막염이 없는 Pseudomonas 공막염 또한 보고되어 있다.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pneumonia, Mycobacterium chelonei, herpes simplex virus, herpes zoster virus, Aspergil1us, Acremonium, Acanthoamoeba도 각공막염을 일으킨다고 보고되어왔다. 특히 AIDS 환자처럼 면역이 저하된 경우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전격 각공막염이 나타날 수 있다. 주변 각막의 감염은 각막 윤부로 진행되어 부종, 침윤을 통반한 윤부홍반을 일으키며, 대개 결막의 상피결손은 나타나지 않는다. 공막이 감염되면 통증이 증가하게 되고, 각막염이 공막에 침범한 경우 감염이 조절될 가능성이 줄어들지만 성공적으로 치료될수도 있다. | ||
=== 전안구염 (panophthalmitis) == | |||
어떤 원인에 의해서든 심한 안내 염이 발생하면 공막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외상이나 수술 후에 | |||
발생한다. 안내 염이 발생한 눈은 심하게 충혈되는데, 공막 감염의 첫 정후는 공막이 앓아지거나 포도막 탈출, 공막 천공으로 나타난다. 많은 경우에 안압이 낮고 시력 예후가 좋지 않다. S. aureus, S, equinus 에 의해 발생한 안내염에서 백내장 수술 후 만들어진 공막 터널에 농양이나 궤양이 발생한 경우가 두 환자에서 보고되었다. 드물게 내인성 원인으로 인한 안내감염의 경우 공막으로 확장되어 공막염을 일으킬 수도 있다. Toxoplasma와 Toxocara와 연관된 내인성 감염도 보고된 적이 있다. | |||
경우 감염이 조절될 가능성이 줄어들지만 성공적으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