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전위도 검사: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075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5월 27일 (수)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 병태 생리 ==
== 병태 생리 ==
피검자의 양쪽 눈 내측 눈구석과 외측 눈구석의 피부에 전극을 붙이고 이마에는 접지 전극을 붙인 뒤 피검자가 고시등 불빛을 따라 보게 하면 눈은 좌우로 수평 운동을 하게 된다. 정면 주시 때는 내측과 외측 눈구석과 전극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지마, 바깥 주시 때는 각막 근처의 외측 눈구석 전극이 양전위를 띠게 되고, 눈 후면 근처의 내측 눈구석 전극은 음전위를 띠게 되어 두 가지 전극간의 전위차를 기록할 수 있다. 이 검사법은 상존 전위가 정해진 진폭을 가지고 있다는 가정 하에 눈운동을 기록하는 것이고, 피부 전극에 기록되는 전위는 상존 전위의 고정 비율에 해당하는 진폭을 가진 네모형 파로 나타난다. 암순응과 명순응 주기 동안 이렇게 간접적으로 피부 전극에서 기록한 전위의 변화는 망막 색소상피를 따라 발생하는 원래의 상존 전위와 비례한다.
피검자의 양쪽 눈 내측 눈구석과 외측 눈구석의 피부에 전극을 붙이고 이마에는 접지 전극을 붙인 뒤 피검자가 고시등 불빛을 따라 보게 하면 눈은 좌우로 수평 운동을 하게 된다. 정면 주시 때는 내측과 외측 눈구석과 전극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지마, 바깥 주시 때는 각막 근처의 외측 눈구석 전극이 양전위를 띠게 되고, 눈 후면 근처의 내측 눈구석 전극은 음전위를 띠게 되어 두 가지 전극간의 전위차를 기록할 수 있다. 이 검사법은 상존 전위가 정해진 진폭을 가지고 있다는 가정 하에 눈운동을 기록하는 것이고, 피부 전극에 기록되는 전위는 상존 전위의 고정 비율에 해당하는 진폭을 가진 네모형 파로 나타난다. 암순응과 명순응 주기 동안 이렇게 간접적으로 피부 전극에서 기록한 전위의 변화는 망막 색소상피를 따라 발생하는 원래의 상존 전위와 비례한다.
== 검사 방법 ==
# 검사 전 1시간 이상 일상적인 실내 조명에 있어야 하며 이 기간 중에는 안저 촬영을 금한다.
# 동공을 최대한 확대시킨다. ISCEV 는 7mm 산동을 권장한다. 동공의 크기를 기록하며 산동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조명을 더 밝게 하여야 한다. 예로서 5mm 동공에는 동일한 망막의 반응을 얻기 위하여 2배의 밝기가 필요하다.
# 내외안각 피부에 각각 전극을 부착하고 기준 전극을 이마에 접착시킨다.
# 일정한 밝기의 실내등 아래에서 환자는 수평 부위에 6회/분 (10초당 1회) 의 속도로 점멸하는 30˚ 간격의 2개의 작은 붉은 등 또는 30˚ 범위를 반복하여 이동하는 시표를 따라 율동적으로 수평 눈운동을 하며 수 분간 측정한다. 안정된 진폭이 얻어지면 그것을 기준치 (base value) 라고 한다. 기록에 잡음이 보이면 모든 전극을 다시 확인한다.
# 15분간 암순응 시키면서 기록을 시작한다. 1분에 한 번씩 눈 전위도를 측정한다. 검사 중 검사자는 환자의 순응도, 과다 주시, 잡음 등의 요소를 확인하여 적절한 기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 15분간 명순응 과정을 같은 방식으로 기록한다. 100 cd/m<sup>2</sup> 로 명순응시킨다. 심한 눈부심을 호소하면 20초에 걸쳐 서서히 조명을 밝게 한다. 15분간 1분 간격으로 기록한다.
# 기록된 각 시점에서 파형의 진폭을 계속하여 종축에 진폭의 크기를, 횡축에 시간(분)을 기록하여 눈전위도 기간 곡선을 작성한다. 잡음으로 인하여 약간의 들쭉날쭉한 진폭이 기록되는데 대략 각 점의 중간을 지나는 매끈한 곡선으로 맞추어 그린다. 숙련된 검사자가 수동으로 그리거나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으로 그릴 수 있다. 암순응 후 최소 눈전위도 진폭을 암소 취저치 (dark trough), 명순응하에 최대의 진폭을 명소 최고치 (light peak) 라고 한다.
== {{참고}} ==
== {{참고}} ==
# {{안과검사}}
# {{안과검사}}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