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킨스 안압계: 두 판 사이의 차이

1,265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5월 28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퍼킨스 안압계 (Perkins tonometer) 는 휴대할 수 있고 평형추를 이용하므로 앉은 자세나 반듯하게 누운 자세에서도 안압을 측정할 수 있다는...)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퍼킨스 안압계 (Perkins tonometer) 는 휴대할 수 있고 평형추를 이용하므로 앉은 자세나 반듯하게 누운 자세에서도 안압을 측정할 수 있다는 점이 [[골드만 압평 안압계]]와 다른 점이다. 전원은 전지를 이용하며 골드만 압평 안압계와 같은 이중 프리즘을 이용한다. 압평하는 힘은 손으로 조절한다.
퍼킨스 안압계 (Perkins tonometer) 는 휴대할 수 있고 평형추를 이용하므로 앉은 자세나 반듯하게 누운 자세에서도 안압을 측정할 수 있다는 점이 [[골드만 압평 안압계]]와 다른 점이다. 전원은 전지를 이용하며 골드만 압평 안압계와 같은 이중 프리즘을 이용한다. 압평하는 힘은 손으로 조절한다.
== 대상 ==
누운 자세의 환자, 유소아, 앉을 수가 없어 세극등 검사가 불가능한 환자, 수술 시, 병동 진료 등
== 방법 ==
# 어두운 방 안에서 점안 마취 후 플루오레세인 종이를 사용하여 눈물층을 염색시킨다.
# 조정 손잡이를 0 mmHg 이상으로 돌리면 내장된 광원의 불이 청색 필터를 통해서 나온다.
# 환자의 눈꺼풀을 충분히 벌려 눈꺼풀테나 눈썹이 닿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이중 프리즘을 각막에 충분히 근접시킨다. 각막에 닿는 순간 점안 렌즈로부터 위, 아래의 반원이 일치할 때까지 조정 손잡이를 조절하면서 압평하는 힘을 조정한다.
== 장점 ==
앉은 자세나 누운 자세라도 측정이 가능하고, 측정한 안압의 정밀도가 높으며, 각막에 닿는 시간이 짧아도 측정이 가능하므로 자고 있는 아이들에게도 사용하기 쉽다.
== 주의 사항 ==
측정 자세가 불안정하며, 사용 시 여러 번 반복하면 마사지 효과로 안압이 낮아지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누운 자세는 앉아 있을 때보다 2~3 mmHg 정도 높게 측정되므로 판정에 있어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
== {{참고}} ==
# {{안과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