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 압평 안압계: 두 판 사이의 차이

2,250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5월 29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세로=250
|세로=250
|제목=골드만 압평 안압계
|제목=골드만 압평 안압계
|출처=CEH journal
|링크=https://www.cehjournal.org/article/how-to-measure-intraocular-pressure-applanation-tonometry-no-64/
|링크=https://www.cehjournal.org/article/how-to-measure-intraocular-pressure-applanation-tonometry-no-64/
}}
}}
== 안압계의 구조 ==
이 안압계는 세극등에 부착하여 각막에 접촉시키는 이중 프리즘(biprism)의 중심부를 통해서 검사자가 직접 관찰하면서 안압을 측정한다. 이중 프리즘은 각막과 접촉하여 형성되는 원의 압평면을 두 개의 반원으로 전환시킨다.
== 기본 개념 ==
== 기본 개념 ==
골드만은 안압계의 기본 개념으로 Impert-Fick 법칙을 수정하여 이용하였다. 이 법칙은 공(sphere)이 완전한 구형이고 두께가 무한대로 얇으며 건조하고 또한 완전한 유연성을 갖고 있을 때 공에 가해지는 외부의 힘(W)은 공 내부의 압력(Pt)에 외부의 힘에 의해 압평된 면적(A)을 곱한 것과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W=Pt×A 이다.
골드만은 안압계의 기본 개념으로 Impert-Fick 법칙을 수정하여 이용하였다. 이 법칙은 공(sphere)이 완전한 구형이고 두께가 무한대로 얇으며 건조하고 또한 완전한 유연성을 갖고 있을 때 공에 가해지는 외부의 힘(W)은 공 내부의 압력(Pt)에 외부의 힘에 의해 압평된 면적(A)을 곱한 것과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W=Pt×A 이다.
== 구조 ==
* 이중 프리즘 (biprism) : 각막에 직접 접촉하는 부위이며 내부에는 상하로 프리즘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위치하여 상하로 양분된 반원을 형성한다. 압평면의 직경이 3.06mm일 때 반원의 내연이 서로 만나도록 설계되어 있다.
* 연결 막대 : 이중 프리즘과 몸체를 연결한다.
* 조정 손잡이 : 압평하는 힘을 조정하는 손잡이로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압평하는 힘이 커진다. 반원의 내연이 일치하도록 조정한 뒤 g 단위로 표시된 눈금에 10배를 하게 되면 mmHg 단위로 환산된다.
== 검사 방법 ==
== 검사 방법 ==
우선 환자에게 검사 시 통증이 없다는 것과 검사의 목적을 설명한다. 다음 국소 마취제를 점안하고 [[플루레신]] 종이를 하안검 결막 표면의 눈물막에 접촉시킨다. 국소 마취제와 [[플루레신]] 물질이 섞여 있는 용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 이중 프리즘의 눈금 0을 지지쇄의 흰색 선에 일치시킨다. ±3 디옵터 이상의 각막 규칙 난시가 있는 경우는 난시의 각막 만곡도가 가장 약한 경선을 지지쇄의 붉은 선에 일치시킨다.
# 측정 전에 소독을 위해 이중 프리즘 끝을 70% 알코올로 닦은 후 충분히 건조시킨다.
# 점안 마취 후 [[플루레신]] 종이를 사용하여 눈물층을 염색시킨다. 전안부 검사처럼 세극등 현미경에 얼굴을 고정시키고 앞을 주시하게 한 후 환자를 충분히 안정시킨다.
# 방을 어둡게 하고, 충분히 눈을 뜨게 하여 눈썹이나 눈꺼풀이 닿지 않도록 한다.
# 조정 손잡이의 눈금을 1g에 맞추고 이중 프리즘의 끝에 청색 (cobalt blue) 필터를 통해서 나오는 세극등 광선을 비춘다. 이 때 이중 프리즘과 광선의 각도는 60˚ 이상이 좋다.
# 이중 프리즘을 옆에서 보면서 위, 아래, 왼쪽, 오른쪽으로 조절하여 각막 중앙 쪽으로 접근시킨다. 충분히 각막에 가까워지면 10배 이하의 저배율로 세극등 현미경의 접안 렌즈를 통해서 본다. 이중 프리즘의 끝이 각막에 닿는 순간에 위 아래에 녹색의 반원이 생긴다.
# 수평면상의 왼쪽위 및 오른쪽 아래에 크기가 같은 반원이 오도록 이중 프리즘의 위치를 조절한다.
# 조정 손잡이를 돌려서 위아래 반원의 내연이 일치하도록 맞춘다. 반원이 박동하고 있는 경우는 박동의 중간부에서 내연이 일치하도록 한다.
# 조정 손잡이의 눈급을 10배로 하여 단위는 mmHg로 안압을 기록하며, 측정 시간도 기록한다. 측정이 곤란했던 경우나 달느 부정확할 수 있는 요인이 있었던 경우에는 나중에 참고하도록 함께 기록해둔다.
# 아데노바이러스나 헤르페스성 바이러스 질환, B형 간염, 후천성 면역 결핍증 등과 같은 질환의 환자에서 안압 측정을 한 경우에는 감염의 전파를 막기 위해 즉시 흐르는 물에 씻은 후 10% sodium hypochlorite 용액이나, 3% hydrogen peroxide 또는 70% isopropyl alcohol 에 5분간 이중 프리즘을 담근다.
== 오차의 요인 ==
== 오차의 요인 ==
* 반원의 폭 : 폭이 넓으면 높게 측정되며 좁으면 낮게 측정된다.
* 반원의 폭 : 폭이 넓으면 높게 측정되며 좁으면 낮게 측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