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위험 인자 == | == 위험 인자 == | ||
근시안에서 흔하게 발견되며, 안축장이 길면 길수록 격자 변성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한다고 하나 이와 반대로 6 디옵터 이상의 근시에서는 안축장이 긴 눈에서 오히려 격자 변성의 빈도가 감소했다는 보고도 있다. 따라서 중등도의 근시에서 많이 관찰된다고 하겠다. 국내에서는 안축장이 증가할수록 발견되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28mm 이상의 고도 근시에서 높은 유병률을 보고하였다. | 근시안에서 흔하게 발견되며, 안축장이 길면 길수록 격자 변성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한다고 하나 이와 반대로 6 디옵터 이상의 근시에서는 안축장이 긴 눈에서 오히려 격자 변성의 빈도가 감소했다는 보고도 있다. 따라서 중등도의 근시에서 많이 관찰된다고 하겠다. 국내에서는 안축장이 증가할수록 발견되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28mm 이상의 고도 근시에서 높은 유병률을 보고하였다. | ||
== 임상 양상 == | |||
== 치료 == | == 치료 == | ||
격자 변성만으로는 시력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한다. 하지만 격자 변성이 있는 눈에서 드물지만 망막 박리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격자 변성을 치료하기 위한 노력들이 행해진다. 치료 목적은 환자에게 망막 박리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는가를 결정하고 필요하다면 적절한 예방적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다. | 격자 변성만으로는 시력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한다. 하지만 격자 변성이 있는 눈에서 드물지만 망막 박리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격자 변성을 치료하기 위한 노력들이 행해진다. 치료 목적은 환자에게 망막 박리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는가를 결정하고 필요하다면 적절한 예방적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