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 장액 맥락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1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6월 3일 (수)
잔글
29번째 줄: 29번째 줄:
|제목=급성 CSC의 FA 소견
|제목=급성 CSC의 FA 소견
|출처=ResearchGate
|출처=ResearchGate
|링크https://www.researchgate.net/figure/Fundus-fluorescein-angiography-image-of-an-acute-case-of-central-serous-chorioretinopathy_fig1_285550104
|링크=https://www.researchgate.net/figure/Fundus-fluorescein-angiography-image-of-an-acute-case-of-central-serous-chorioretinopathy_fig1_285550104
}}
}}
* OCT : 질환을 경과 관찰 하는데 유용하고, 세극등 현미경으로 관찰하기 힘든 얕은 장액성 박리를 발견하기에도 좋다. 또한 치료 효과 및 경과를 알아보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 동반된 망막 상피세포 박리가 맥락막 혈관의 투과성이 증가된 부분에서 보이는 누출점 부위에서 관찰될 수 있다. EDI를 이용할 경우, <span style='color:blue;'>정상인에 비해 두꺼워진 맥락막</span>도 관찰되는데 이는 맥락막 내의 정수압이 높아진 것을 시사하는 소견이며, 진단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 OCT : 질환을 경과 관찰 하는데 유용하고, 세극등 현미경으로 관찰하기 힘든 얕은 장액성 박리를 발견하기에도 좋다. 또한 치료 효과 및 경과를 알아보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 동반된 망막 상피세포 박리가 맥락막 혈관의 투과성이 증가된 부분에서 보이는 누출점 부위에서 관찰될 수 있다. EDI를 이용할 경우, <span style='color:blue;'>정상인에 비해 두꺼워진 맥락막</span>도 관찰되는데 이는 맥락막 내의 정수압이 높아진 것을 시사하는 소견이며, 진단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