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시성 맥락막 신생혈관: 두 판 사이의 차이

1 바이트 제거됨 ,  2020년 6월 3일 (수)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b>근시성 맥락막 신생혈관 (myopic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mCNV)</b> == 역사 == 1901년 Fuchs가 고도 근시에서 발생한 망막 색소상피가 뭉친 원형의...)
 
잔글편집 요약 없음
12번째 줄: 12번째 줄:
요시다 등은 맥락막 신생혈관을 발생에서부터 10년 동안 자연 경과를 관찰하였다. 초기에 20/40 이상의 시력은 22.2%, 20/200 이하의 시력은 29.6% 였다. 그러나 10년 후의 최종 시력은 20/40 이상은 단지 한 눈에서만 남아 있었고 96.3%는 20/200 이하로 감퇴되었다. 신생혈관과 관련된 출혈은 평균적으로 7.6개월 정도 후 흡수되며 재출혈은 드물다. 모든 신생혈관막은 5~10년 경과 후에는 완전히 퇴화되어 평평해지며, 때로는 식별하기 어렵게 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나이 관련 황반 변성]]에서 볼 수 있는 신생혈관에 비교하여 활성이 약하고 자연 소멸되는 경과를 보인다. 그러나 퇴화되는 신생혈관막 자체와 그 주변 부위의 맥락막의 위축이 진행된 후 확장된다. 이러한 위축의 확장으로 인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력이 감소하고 중심 시력이 떨어진다.
요시다 등은 맥락막 신생혈관을 발생에서부터 10년 동안 자연 경과를 관찰하였다. 초기에 20/40 이상의 시력은 22.2%, 20/200 이하의 시력은 29.6% 였다. 그러나 10년 후의 최종 시력은 20/40 이상은 단지 한 눈에서만 남아 있었고 96.3%는 20/200 이하로 감퇴되었다. 신생혈관과 관련된 출혈은 평균적으로 7.6개월 정도 후 흡수되며 재출혈은 드물다. 모든 신생혈관막은 5~10년 경과 후에는 완전히 퇴화되어 평평해지며, 때로는 식별하기 어렵게 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나이 관련 황반 변성]]에서 볼 수 있는 신생혈관에 비교하여 활성이 약하고 자연 소멸되는 경과를 보인다. 그러나 퇴화되는 신생혈관막 자체와 그 주변 부위의 맥락막의 위축이 진행된 후 확장된다. 이러한 위축의 확장으로 인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력이 감소하고 중심 시력이 떨어진다.
{{참고|망막}}
{{참고|망막}}
# Kyoko Ohno-Matsui, Takeshi Yoshida, "Myopic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 Natural Course and Treatment". <i>Curr Opin Ophthalmol</i>
# Kyoko Ohno-Matsui, Takeshi Yoshida, "Myopic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 Natural Course and Treatment". <i>Curr Opin Ophthalmol</i>. 2004 Jun;15(3):197-202. [https://pubmed.ncbi.nlm.nih.gov/15118506 링크]
. 2004 Jun;15(3):197-202. [https://pubmed.ncbi.nlm.nih.gov/15118506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