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유리체 박리: 두 판 사이의 차이

320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6월 3일 (수)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분류)
9번째 줄: 9번째 줄:
# 3기 : 시신경 유두에는 유리체가 부착한 채로 광범위한 유리체 분리
# 3기 : 시신경 유두에는 유리체가 부착한 채로 광범위한 유리체 분리
# 4기 : 완전한 후유리체 박리
# 4기 : 완전한 후유리체 박리
{{외부 사진
|주소=https://i2.wp.com/entokey.com/wp-content/uploads/2017/01/gr3-483.jpg?fit=371%2C284&ssl=1&w=640
|세로=250
|제목=후유리체 박리의 OCT에 따른 단계 (1~4기)
|출처=Ento Key
|링크=https://entokey.com/posterior-vitreous-detachment-evolution-and-complications-of-its-early-stages/
}}
== 증상 ==
== 증상 ==
비문증과 광시증이다. 비문증 또는 날파리증은 유리체 섬유가 뭉쳐져 떨어진 조직 (vitreous condensation), 찢어진 혈관의 피, 시신경 주위 섬유 조직에 의한 Weiss ring 등이 일으킨다. 광시증은 어두운 상황에서 더 잘 알게 된다.
비문증과 광시증이다. 비문증 또는 날파리증은 유리체 섬유가 뭉쳐져 떨어진 조직 (vitreous condensation), 찢어진 혈관의 피, 시신경 주위 섬유 조직에 의한 Weiss ring 등이 일으킨다. 광시증은 어두운 상황에서 더 잘 알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