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미경 연관 광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1 바이트 제거됨 ,  2020년 6월 4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 역사 및 역학 ==
== 역사 및 역학 ==
수술 현미경 노출과 황반 손상과의 관련성은 1977년에 처음으로 제기되었다. 1983년에 McDonald외 lrvine은 통상적인 백내장 수술 동안 수술 현미경에 의해 야기된 6례의 망막 광독성을 보고하였으며, 그 이후 백내장 수술, 각막 이식, 굴절 수술, 유리체 절제술 및 녹내장 수술 등과 같은 수술 현미경을 이용하는 안내 수술에 관련되어 망막독성이 많이 보고되었다. 백내장 수술 후 광망막병증의 전체적인 발생률은 7~28%로 추정되고 있다.
수술 현미경 노출과 황반 손상과의 관련성은 1977년에 처음으로 제기되었다. 1983년에 McDonald외 lrvine은 통상적인 백내장 수술 동안 수술 현미경에 의해 야기된 6례의 망막 광독성을 보고하였으며, 그 이후 백내장 수술, 각막 이식, 굴절 수술, 유리체 절제술 및 녹내장 수술 등과 같은 수술 현미경을 이용하는 안내 수술에 관련되어 망막독성이 많이 보고되었다. 백내장 수술 후 광망막병증의 전체적인 발생률은 7~28%로 추정되고 있다.
== 병인 ==
== 병인 ==
고강도의 동축 빛이 망막 위에 맺힐 때 발생되는 광화학 손상에 의한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망막손상을 일으키는 요인을 크게 주인지와 부인자로 나눌 수 있으며, 부인자로는 빛의 파장, 산소 분압 및 온도 등이 포함된다. 망막은 짧은 파장의 빛에 훨씬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주 짧은 파장은 대부분의 에너지를 전달하므로 조직 내에서 산소 유리기가 더 많이 형성된다. 망막은 440nm (청색) 혹은 그 이상의 파장보다 315nm 피장의 자외선에 6배 더 민감히디고 보고된 바 있다. 이것 때문에 어떤 현미경은 400~410nm 파장 이하의 빛을 차단하는 황색 필터 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원숭이를 이용한 연구에서, 이러한 필터의 유무는 망막 병변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노출 시간의 역치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br}}
고강도의 동축 빛이 망막 위에 맺힐 때 발생되는 광화학 손상에 의한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망막손상을 일으키는 요인을 크게 주인지와 부인자로 나눌 수 있으며, 부인자로는 빛의 파장, 산소 분압 및 온도 등이 포함된다. 망막은 짧은 파장의 빛에 훨씬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주 짧은 파장은 대부분의 에너지를 전달하므로 조직 내에서 산소 유리기가 더 많이 형성된다. 망막은 440nm (청색) 혹은 그 이상의 파장보다 315nm 피장의 자외선에 6배 더 민감히디고 보고된 바 있다. 이것 때문에 어떤 현미경은 400~410nm 파장 이하의 빛을 차단하는 황색 필터 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원숭이를 이용한 연구에서, 이러한 필터의 유무는 망막 병변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노출 시간의 역치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