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금기)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절대적 금기||상대적 금기 | !절대적 금기||상대적 금기 | ||
|- | |- | ||
|불안정한 굴절 이상<br />[[아벨리노 각막 이상증]]<br />얇은 각막<br />[[원추 각막]], [[투명 각막 가장자리 변성]]<br />비정상적인 각막 지형도<br />심한 각막 혼탁<br />백내장<br />조절되지 않는 눈의 질환<br />- 녹내장, 외부 질환, 심한 [[건성안|안구 건조증]]<br />- [[신경 영양 각막염]], 사이질 각막염<br />포도막염, [[당뇨 망막병증]]<br />지나치게 기대가 큰 환자| | | <style="text-align:left;"> 불안정한 굴절 이상<br />[[아벨리노 각막 이상증]]<br />얇은 각막<br />[[원추 각막]], [[투명 각막 가장자리 변성]]<br />비정상적인 각막 지형도<br />심한 각막 혼탁<br />백내장<br />조절되지 않는 눈의 질환<br />- 녹내장, 외부 질환, 심한 [[건성안|안구 건조증]]<br />- [[신경 영양 각막염]], 사이질 각막염<br />포도막염, [[당뇨 망막병증]]<br />지나치게 기대가 큰 환자| | ||
|} | |} | ||
== 수술 방법 == | == 수술 방법 == | ||
수술 직전에 마이봄선의 분비물이나 결막의 물질을 잘 닦아내야 한다. 눈썹이 완전히 가려지도록 수술포를 덮는다. 눈썹이 기계 사이에 끼면 각막절개가 도중에 멈추거나 잘못된 각막절편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점안 마취 후 눈벌리개로 눈을 벌리고 흡입환으로 눈을 고정하는데, 이 때 중심을 잘 맞추어야 한다. 흡입력이 충분하지 않으면 절편이 너무 앓아지거나 떨어지는 등 심각한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Barraquer 안압계로 안압이 적당한지 살피고, 계기판으로 압력을 다시 확인하는 것이 안전하다. 원하는 각막절편의 두께에 따라 미세 각막 절개도의 종류를 선택한다. 이때 칼날이 예리한지 수술 현미경으로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경첩의 위치는 기계에 따라 비측 또는 상측에 만들 수 있다. 만들어진 각막 절편을 조심스럽게 히고 각막 기질 바닥에 엑시머 레이저를 조사하여 절제한다. 벗겨 놓은 각막을 원위치 시키고 절편 경계면을 평형 염액으로 잘 씻은 후 젖은 스펀지 등으로 각막 표면을 쓸듯이 압력을주어 경계면의 액체를 배출시킨다. 1~3분 정도 말리고 절편과 바닥이 잘 유착되었는지 striae test로 확인한 후 수술을 마친다. | 수술 직전에 마이봄선의 분비물이나 결막의 물질을 잘 닦아내야 한다. 눈썹이 완전히 가려지도록 수술포를 덮는다. 눈썹이 기계 사이에 끼면 각막절개가 도중에 멈추거나 잘못된 각막절편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점안 마취 후 눈벌리개로 눈을 벌리고 흡입환으로 눈을 고정하는데, 이 때 중심을 잘 맞추어야 한다. 흡입력이 충분하지 않으면 절편이 너무 앓아지거나 떨어지는 등 심각한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Barraquer 안압계로 안압이 적당한지 살피고, 계기판으로 압력을 다시 확인하는 것이 안전하다. 원하는 각막절편의 두께에 따라 미세 각막 절개도의 종류를 선택한다. 이때 칼날이 예리한지 수술 현미경으로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경첩의 위치는 기계에 따라 비측 또는 상측에 만들 수 있다. 만들어진 각막 절편을 조심스럽게 히고 각막 기질 바닥에 엑시머 레이저를 조사하여 절제한다. 벗겨 놓은 각막을 원위치 시키고 절편 경계면을 평형 염액으로 잘 씻은 후 젖은 스펀지 등으로 각막 표면을 쓸듯이 압력을주어 경계면의 액체를 배출시킨다. 1~3분 정도 말리고 절편과 바닥이 잘 유착되었는지 striae test로 확인한 후 수술을 마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