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치료) |
잔글 (→비수술적 치료)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 신체적 증상과 감정적 이상이 원래 하나의 신경병리 구조로부터 발현되는 현상이라는 가설 | # 신체적 증상과 감정적 이상이 원래 하나의 신경병리 구조로부터 발현되는 현상이라는 가설 | ||
등이 있다. 따라서 정신 요법으로 본태 눈꺼풀 연축의 빈도와 정도를 줄이기 위해 상담, 행동 수정, 생체 되먹임 등과 같은 치료들이 시도된 바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30세 이전의 젊은 환자에서 증상이 심하지 않을 때 시도해볼 수 있으나, 대부분의 환자에 있어서는 정신 요법과 행동 수정 치료가 큰 만족을 주지 못하며 효과도 오래 지속되지 못한다. | 등이 있다. 따라서 정신 요법으로 본태 눈꺼풀 연축의 빈도와 정도를 줄이기 위해 상담, 행동 수정, 생체 되먹임 등과 같은 치료들이 시도된 바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30세 이전의 젊은 환자에서 증상이 심하지 않을 때 시도해볼 수 있으나, 대부분의 환자에 있어서는 정신 요법과 행동 수정 치료가 큰 만족을 주지 못하며 효과도 오래 지속되지 못한다. | ||
=== 약물 치료 === | |||
정확한 병인이 밝혀지지 않아 확실한 치료제도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다. 현재까지 여러 약물들이 본태 눈꺼풀 연축의 치료로 시도되어 왔지만 일부 환자에서만 일시적으로 효과를 보인다. 오래 사용하면 부작용이 증가하고 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은 신경과 의사의 자문을 구하는 것이 좋다. | |||
* α-methyl-L-tyrosine : 불수의적인 운동을 억제하기 위한 카테콜아민 합성 억제제 | |||
* phenothiazine, butyrophenones : 도파민 수용체 차단제 | |||
* reserpine, tetrabenazine : 뇌의 monoamine을 고갈시킴 | |||
* physostigmine, choline, lecithin : 중추 콜린성 효과를 증대시킴 | |||
등의 약물을 사용해볼 수 있는데, 이들은 과운동 장애가 중추 신경계의 도파민과 같은 monoamine의 과도한 작요이나 상대적인 콜린성 결핍에 의한 것이라는 가정에 따른 것이다.{{br}}Lorazepam (Ativan<sup>®</sup>), clonazepam (Klonopin<sup>®</sup>), trihexphenidyl (Artane<sup>®</sup>) 등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한 보고에 따르면 각각 67, 42, 41%의 환자에서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그 밖에 근육 이완제인 baclofen은 근절제술이나 보툴리눔 주사 후에 남아있는 연축을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br}}보툴리눔 주사 치료에 비해 효과가 떨어지기에 주로 경한 눈꺼풀 연축 환자나 주사 치료에 반응이 적은 안면 중앙이나 하부 연축에 대해 이차적인 치료법으로 고려하며, 보툴리눔 독소 주사 간격을 넓히기 위해 보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
== 시술 치료 == | == 시술 치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