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수술 방법)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재발 군날개 제거 === | === 재발 군날개 제거 === | ||
재발 군날개 수술은 힘들고 위험하기 때문에 경험 많은 수술자가 시행해야 한다. 수술이 힘든 이유는 이전의 수술로 인해 섬유성 반흔이 많으며 군날개 체부와 공막의 유착이 심하고 층간의 경계와 기준점들의 왜곡이 심하기 때문이다. 만약 이전 수술에서 보우만층 깊숙이 군날개를 제거했다면 각막 부위의 유착이 심해서 수술이 어려울 수 있으며,군날개 반흔조직이 깊숙이 침범되어 정상 공막이나 각막 기질에서 제거하는 것보다 어렵고, 조직이 너무 깊게 제거될 수 있다. 많은 경우 직근의 근막이 섬유화 반흔조직에 유착되어 있어 직근의 부착 부위가 앞쪽으로 이통되어 추가적인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군날개 뒤쪽의 직근을 반흔 조직과 완전히 분리한 후 근육 주위의 반흔 조직을 제거해야 안구 운동 장애를 피할 수 있다. 결막 붙음증이 있는 경우도 완전히 박리하여 안구가 눈꺼풀에서 멀리 떨어지도록 해야 한다. | 재발 군날개 수술은 힘들고 위험하기 때문에 경험 많은 수술자가 시행해야 한다. 수술이 힘든 이유는 이전의 수술로 인해 섬유성 반흔이 많으며 군날개 체부와 공막의 유착이 심하고 층간의 경계와 기준점들의 왜곡이 심하기 때문이다. 만약 이전 수술에서 보우만층 깊숙이 군날개를 제거했다면 각막 부위의 유착이 심해서 수술이 어려울 수 있으며,군날개 반흔조직이 깊숙이 침범되어 정상 공막이나 각막 기질에서 제거하는 것보다 어렵고, 조직이 너무 깊게 제거될 수 있다. 많은 경우 직근의 근막이 섬유화 반흔조직에 유착되어 있어 직근의 부착 부위가 앞쪽으로 이통되어 추가적인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군날개 뒤쪽의 직근을 반흔 조직과 완전히 분리한 후 근육 주위의 반흔 조직을 제거해야 안구 운동 장애를 피할 수 있다. 결막 붙음증이 있는 경우도 완전히 박리하여 안구가 눈꺼풀에서 멀리 떨어지도록 해야 한다. | ||
=== 이식편 채취 === | |||
성공적이며 재발률이 낮은 수술을 위해서는 테논낭이 없으며 크기가 적당하고 앓은 자가 결막 이식편을 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군날개 제거가 끝나면 안구를 아래쪽으로 견인하여 위쪽 결막을 노출시키며 이식편을 채취할 부위를 확인한다. (아래쪽 결막은 큰 이식편을 만들기에 부적절하며 나중에 눈꺼풀 유착이 발생할 가능성이 많다.) 군날개 제거 부위로부터 많이 떨어진 부위를 선택해야 하며, 여과 수술을 위해 조작하지 않은 결막을 남겨야 한다. 예를 들어 비측 군날개를 제거했다면 이식편은 상이측 결막에서 얻어야 한다. | |||
=== 표층 박리술 === | |||
성공을 위한 필수요건은 앓은 결막 이식편을 얻는 것이다. 자연적인조직 경계면은 테논층과 공막 사이에 존재한다. 이것은 사시 수술이나 여괴 수술 시 사용되며 깊은 곳에 위치한다. 그러나 테논층과 결막 상피 사이에는 확실한 경계면이 없어 이 층을 표층 박리하여 분리하기 위해서는 연습이 필요하다. 필요한 크기로 표시를 한 후, 원개부 결막쪽에서 겸자 (forceps) 로 테논낭 위의 결막 상피층만을 살짝 집어든 후 들어 올려진 상피층을 미세하게 절개하고 결막 가위로 두 층을 분리한다. 이때 들어 올려진 상피층 가까이 있는 테논섬유들을 제거한다. 끝이 무딘 겸자와 가위를 사용하며, 이식편에 단추 구멍 (button hole) 이 생기지 않도록 조심한다. 박리는 각막 윤부를 향해 진행한다. 표층 박리술은 결막 출혈을 줄여주고 소작술이 거의 필요 없으며, 테논층에 손상이 적으면 심각한 결막 반흔 없이 치유될 수 있다. | |||
=== 이식편의 크기 === | |||
표충박리 에도 불구하고 상피하 섬유조직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으면 이식 편이 수축될 수 있으므로 기증편의 크기가 수용 부위보다 1mm 이상 큰 것이 좋다. 그래서 수용 부위와 기증 부위를 신중히 측정하고 표시하는 것이 좋다. | |||
=== 이식편의 방향 === | |||
윤부 상피를 최대한 포함한 윤부 줄기세포 이식이 각광받고 있지만 표층 결막 박리가 심부의 윤부 줄기세포를 포함하고 있다는 증거는 없다. 임상적으로나 해부학적으로 윤부 쪽을 윤부에 이식하는 것이 성공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그러나 결막 이식편의 상피 쪽이 위로 향하게 이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식편을 완전히 박리하면 그 상태로 공막 노출 부위로 미끄러지듯 이동시켜 위치시킨다. 뒤집혀 이식되면 수술 초기에 이식편이 이탈하게 될 것이다. | |||
=== 이식편 고정 === | |||
자가 결막 이식편은 10-0 vicryl 또는 8/0 virgin silk로 단속 봉합한다. 첫 봉합은 윤부에서 시작하고, 위아래 모서리를 맞춘다. 봉합은 상공막에 하여 안구운동 중에 이탈하지 않도록 히는 것이 중요하다. 직근 위에서 이식편을 봉합할 때는 아래의 근조직이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식편의 윤부 쪽 중심 에 봉합하여 이식 편이 각막 위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결막하 항생제/스테로이드 주사를 하고, 마지막으로 안구가 움직여도 이식편이 잘 부착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
== 합병증 == | == 합병증 == | ||
일반적으로 안전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시력을 위협하는 합병증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 일반적으로 안전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시력을 위협하는 합병증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