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적응증) |
잔글 (→각막 표면 성형을 위한 일시 이식)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 각막 표면 성형을 위한 일시 이식 === | === 각막 표면 성형을 위한 일시 이식 === | ||
일시 양막 이식은 주로 지속 각막 상피 결손에서 재상피화를 위해 사용되는데 특히 [[전층 각막 이식] 혹은 [[표층 각막 이식]] 후 단순 포진 각막염이나 [[신경 영양 각막염]]이 생긴 경우에 빠른 재상피화를 위해 사용된다. 또한 [[띠 각막병증]]에서 EDTA 치료 후 통증 완화와 상피 재생을 위해 양막이 시용된다.{{br}}급성 화학 화상 혹은 열손상 초기에 양막을 이식하면 각결막 표면을 재건하고, 기질 침윤과 윤부 손상을 억제하며, 눈꺼풀 유착을 예방할 수 있다. [[스티븐스-존슨 증후군]]에서도 같은 기전으로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굴절 교정 레이저 각막 절제에서 각막 혼탁을 줄일 수 있다. | 일시 양막 이식은 주로 지속 각막 상피 결손에서 재상피화를 위해 사용되는데 특히 [[전층 각막 이식] 혹은 [[표층 각막 이식]] 후 단순 포진 각막염이나 [[신경 영양 각막염]]이 생긴 경우에 빠른 재상피화를 위해 사용된다. 또한 [[띠 각막병증]]에서 EDTA 치료 후 통증 완화와 상피 재생을 위해 양막이 시용된다.{{br}}급성 화학 화상 혹은 열손상 초기에 양막을 이식하면 각결막 표면을 재건하고, 기질 침윤과 윤부 손상을 억제하며, 눈꺼풀 유착을 예방할 수 있다. [[스티븐스-존슨 증후군]]에서도 같은 기전으로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굴절 교정 레이저 각막 절제에서 각막 혼탁을 줄일 수 있다. | ||
=== [[윤부 줄기세포 결핍]]에서의 이식 === | |||
급성 이나 만성 줄기세포 결핍, 화학 화상 혹은 열화상,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반흔, 유사 천포창과 같은 반흔성 질환에서 줄기세포 이식 시 양막을 병용하게 된다. 국소적 윤부 줄기세포 결핍 에서 양막 이식은 윤부 부위 줄기세포 환경을 활성화하고, 새로운 바닥막을 형성하며, 염증을 줄이는 한편 줄기세포 증식을 도와 줄기세포 이식의 필요성을 없앨 수 있다. 이때 손상받은 표면의 상피와 섬유 혈관 조직 (결막화조직) 을 깨끗이 제거하고 이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체 윤부 줄기세포 결핍의 경우 윤부 줄기세포를 이식해야 하는데 이때 양막은 줄기 세포 증식과 상피 재생을 위한 기질로 작용하여 수술 후 재상피화를 촉진한다. 또한 양막을 윤부 줄기세포 이식 전에 윤부 부위에 이식하면 줄기세포 환경을 활성화할 수 있다. | 급성 이나 만성 줄기세포 결핍, 화학 화상 혹은 열화상,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반흔, 유사 천포창과 같은 반흔성 질환에서 줄기세포 이식 시 양막을 병용하게 된다. 국소적 윤부 줄기세포 결핍 에서 양막 이식은 윤부 부위 줄기세포 환경을 활성화하고, 새로운 바닥막을 형성하며, 염증을 줄이는 한편 줄기세포 증식을 도와 줄기세포 이식의 필요성을 없앨 수 있다. 이때 손상받은 표면의 상피와 섬유 혈관 조직 (결막화조직) 을 깨끗이 제거하고 이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체 윤부 줄기세포 결핍의 경우 윤부 줄기세포를 이식해야 하는데 이때 양막은 줄기 세포 증식과 상피 재생을 위한 기질로 작용하여 수술 후 재상피화를 촉진한다. 또한 양막을 윤부 줄기세포 이식 전에 윤부 부위에 이식하면 줄기세포 환경을 활성화할 수 있다. | ||
=== 윤부 줄기세포 배양을 위한 기질로서의 양막 === | === 윤부 줄기세포 배양을 위한 기질로서의 양막 === | ||
Pelligrini 등은 섬유막에 각막 상피를 체외 배양하여 윤부 결핍된 막에 처음으로 이식했다. 그 후 Schwab 등은 양막 상피가 제거된 양막에 줄기세포를 배양했는데, 양막 상피가 제거되고 바닥막이 있는 양막 (denuded AM) 을 배양할 때가 양막 상피가 있을 때보다 상피화가 더 빨랐다고 보고했다. 이 기술은 자가 윤부나 가족에서 얻은 동종 윤부 에서 시행될 때, 살아있는 윤부 세포가 많고 기증자의 윤부 손상이 적으며, 자가 이식인 경우는 면역억제제 사용이 필요 없는 것이 장점이다. | Pelligrini 등은 섬유막에 각막 상피를 체외 배양하여 윤부 결핍된 막에 처음으로 이식했다. 그 후 Schwab 등은 양막 상피가 제거된 양막에 줄기세포를 배양했는데, 양막 상피가 제거되고 바닥막이 있는 양막 (denuded AM) 을 배양할 때가 양막 상피가 있을 때보다 상피화가 더 빨랐다고 보고했다. 이 기술은 자가 윤부나 가족에서 얻은 동종 윤부 에서 시행될 때, 살아있는 윤부 세포가 많고 기증자의 윤부 손상이 적으며, 자가 이식인 경우는 면역억제제 사용이 필요 없는 것이 장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