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자가 면역성 === | === 자가 면역성 === | ||
염증은 안구 표면 질환에서 병을 악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을 찾아내고 제거함으로써 병을 치료하고 경과를 단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스티븐스-존슨 증후군]]과 안반흔 유사 천포창 같은 자가 면역 질환은 염증이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병의 일차적 발생과 진행에 염증이 관여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염증의 치료가 병의 진행을 막는 일차적인 방법이 된다. | 염증은 안구 표면 질환에서 병을 악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을 찾아내고 제거함으로써 병을 치료하고 경과를 단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스티븐스-존슨 증후군]]과 안반흔 유사 천포창 같은 자가 면역 질환은 염증이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병의 일차적 발생과 진행에 염증이 관여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염증의 치료가 병의 진행을 막는 일차적인 방법이 된다. | ||
*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 *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 ||
* 안반흔 유사 천포창 | * 안반흔 유사 천포창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초기에는 세극등 현미경 상 보크트 울타리(palisade of Vogt)의 소실이 관찰되고, 점차 각막 상피의 형광 염색이 가능해지며, 신생 혈관, 각막 판누스가 발생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이상은 중심부로 이동하게 되고, 초기에는 불규칙하고 뿌옇게 된 상피가 관찰되다가 점차 점상 각막염이 발생하고 각막 상피 결손으로 진행되며, 계속 지속될 경우 기질 혼탁, 궤양, 천공이 발생할 수 있다. | 초기에는 세극등 현미경 상 보크트 울타리(palisade of Vogt)의 소실이 관찰되고, 점차 각막 상피의 형광 염색이 가능해지며, 신생 혈관, 각막 판누스가 발생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이상은 중심부로 이동하게 되고, 초기에는 불규칙하고 뿌옇게 된 상피가 관찰되다가 점차 점상 각막염이 발생하고 각막 상피 결손으로 진행되며, 계속 지속될 경우 기질 혼탁, 궤양, 천공이 발생할 수 있다. | ||
{{참고|각막}} | {{참고|각막}} |